분류그룹

Quick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지가동향 2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행렬전환
~ 조회 행렬전환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가동향 개념 및 의의

ㅇ 지가통계는 일반적인 지가수준의 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개별토지의 가격 수준 및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것은 아님

ㅇ 조사기준일 : 해당월 다음달 1일

■ 지가동향 의의 및 활용도

ㅇ 토지거래허가구역 및 투기지역 지정 등에 활용

■ 지가변동률 산정방법

ㅇ 지가지수 산정(Laspeyres 수정산식 이용) * 기준시점 2022년 10월 (지수=100)
- 월별 변동률 = {당해월 지가지수/전월 지가지수)-1}×100
- 누계 변동률 = {당해월 지가지수/연초 지가지수)-1}×100


지표해석

■ 지가동향 분석

ㅇ ’94년부터 ’97년까지는 지가 안정기로 연평균 1% 이내의 상승세를 유지

- 부동산실명제, 투기단속 강화 등 강력한 부동산투기 방지대책의 영향으로 ’94년부터 ’97년까지 지가는 안정세를 나타냄

ㅇ ’97년말 외환위기 이후인 ‘98년에는 지가가 급락(’98 : -13.60%) 하였으나, ’98년 3/4분기에서 ’01년은 지가 회복기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임(’99 : 2.94% → ’00 : 0.67% → ’01 : 1.32%)

- ‘98년 지가 급락 현상은 ’97년 말에 시작된 IMF 외환위기 이후 경기침체, 고금리, 기업연쇄부도 및 구조조정, 부동산수요 감소 등이 주요 원인

- ’98년 3/4분기에서 ’01년은 IMF 이후 환율안정, 거시경제의 회복과 정부의 건설경기 부양 등 부동산시장 활성화 정책 등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임

ㅇ ’02년부터 ’05년까지 지가 상승기로 꾸준한 상승세 유지(’02년 : 8.98% → ’03년 : 3.43% → ’04년 : 3.86% → ’05년 : 4.986%)

- ’02년에는 저금리 등으로 인한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부동산시장이 과열양상을 보여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냄

- ’03~’04년은 저금리 지속, 뉴타운 개발계획, 신도시 건설, 개발제한구역 해제 및 행정수도 이전 추진 등의 영향으로 ’03년 10.29대책 등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및 충청권을 중심으로 지가상승세가 지속

- ’05년은 행정중심복합도시, 혁신도시, 기업도시 등 정부의 개발계획 추진으로 개발지역과 그 주변지역 등 개발호재 지역의 국지적인 상승으로 지가상승폭이 확대됨

ㅇ ’06년 뉴타운 건설 등 영향으로 상승세 지속 ( ’06년 : 5.617%)

- '06년 지가는 부동산실거래가 신고제 시행과 3.30 대책 등으로 안정세를 보이나, 뉴타운건설 등으로 서울지역의 지가는
비교적 높은 상승세를 보임

- 하반기에도 서울시 뉴타운 및 경기도 뉴타운 건설 기대감, 신도시 건설 기대감에 따른 수도권 지역의 지가가 비교적 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일부 개발사업지역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안정세

ㅇ ’07. 전국 지가상승률은 '06년 상승률 5.61%에 비해 낮은 3.88%로 부동산시장이 안정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시도별로는 서울(5.88%), 인천(4.85%), 경기(4.22%) 등 수도권 지역이 전국 평균(3.88%) 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그외 지역은 전국평균 이하의 상승률을 보임

- 전국 248개 시군구 중에 평균 지가변동률(3.88%) 보다 높은 지역이 59개(53 지역은 수도권 소재)인 반면,

- 189개 지역은 평균보다 낮아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것으로 나타남

ㅇ ’08. 전국 지가상승률은 '07년 상승률 3.88%에 비해 낮은 -0.31%로 부동산 시장이 급격한 하락세를 나타냄

- '08년 지가는 최근 몇년간 전국의 지가상승을 주도했던 수도권(서울:-3.48%, 인천:-3.74%, 경기:-3.13%)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 '98년 2분기(-9.49%)이후 처음으로 전국 모든 시.군.구(249개)가 마이너스 상승률을 보였다.

ㅇ '09, 전국지가상승률(0.96%)은 금융위기로 급격한 하락세를 나타낸 '08. 상승률(-0.31%)보다 높은 완만한 회복세 지속

- 시도별로는 서울 1.40%, 인천 1.99%, 경기 1.22% 등 수도권 지역이 전국 평균(0.96%)보다 높았고 지방은 0.24%로 전국 평균 이하의 상승률을 보임

- 금융위기 영향으로 땅값이 '08.11월부터 '09.3월까지 5.3% 하락하였으나 '09.4월부터 매월 0.1~0.3% 내외의 완만한 회복세가 지속되어 1~12월간 누적상승률은 0.96%로 나타남

ㅇ '10. 전국 지가상승률(1.05%)은 '09년 상승률(0.96%)보다 높은 완만한 회복세 지속

- 시도별로는 서울 0.53%, 인천 1.43%, 경기 1.49% 이며 지방은 0.65~1.55% 로 미미한 상승

- '09.4월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던 지가는 '10.7월 하락세로 전환, 4개월 하락세가 지속되다가 '10.11월 다시 상승세로 전환

ㅇ '11. 전국 지가상승률(1.17%)은 ‘10년에 이어 완만한 지가회복 추세를 이어나갔으며, '09년 이후 3년 연속 상승세를 기록

- 시도별로는 서울 0.97%, 인천 0.67%, 경기 1.47% 등 수도권이 1.16% 상승하였으며, 지방은 1.17% 상승하여 수도권과 지방이 고르게 상승

- 특히, 군지역(0.99%)이나 대도시(1.03%)보다는 상대적으로 일반 시지역(1.35%)에서 지가상승을 주도하였으며, 경남(1.63%)과 대전(1.47%) 등이 대표적임

ㅇ '12. 전국 지가상승률(0.96%)은 4년 연속 상승을 기록하였으나, 전년도에 비해 상승폭은 줄어들었음

- 시도별로는 서울 0.38%, 인천 0.46%, 경기 1.04% 등 수도권이 0.68% 상승한 반면, 지방은 1.47% 상승하여 격차가 크게 나타남

- 주요 실물경제지표는 개선되었으나, 고용증가세 둔화로 인해 대도시(0.73%) 및 시지역(1.04%)의 지가회복이 예상보다 더딘 모습을 보임

ㅇ '13. 전국 지가상승률은 정부의 4.1대책 및 8.28대책 등 부동산대책에 반응하여 1.14% 상승을 기록함

- 시도별로는 서울 1.21%, 인천 0.87%, 경기 0.91% 등 수도권이 1.04% 상승하였으며, 지방은 세종 5.50%, 대구 1.68% 등 1.30% 상승함

- 정부의 부동산대책과 더불어 세종시, 지방 혁신도시 등 새로운 개발 호재의 발생으로 전국적으로 높은 상승추세를 나타냄

ㅇ '14. 전국 지가상승률은 7년만에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1.3%)을 웃도는 1.96%를 기록하며, ‘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

- 전국 17개 시도가 모두 상승한 가운데, 수도권이 1.91%, 지방은 2.06% 상승하여 전년대비 상승정도가 큰 폭으로 확대될 수 있었음

- 세종 4.53% 서울 2.66% 대구 2.28% 등 대도시 및 개발지역 위주의 지가상승이 뚜렷

ㅇ '15. 전국 지가상승률은 제주도 신공항 발표, 대규모 개발사업 착공, 혁신도시 등의 호재가 지속·고조되며 ‘14년보다 높은 2.40%의 상승을 기록

- 전국 17개 시ㆍ도 땅값은 모두 상승한 가운데, 수도권은 2.19%, 지방은 2.77% 상승

- 제주가 7.57% 상승하여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는 가운데, 세종(4.57%), 대구(4.06%), 대전(3.11%) 등 11개 시도가 전국 평균을 상회

ㅇ '16.1월중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전국 평균 0.17% 상승하여 안정세이며 서울 29개월 연속 상승, 제주특별자치도(1.47%)
4개월 연속 전국 시도 중 상승률 최고 기록

- 수도권 0.13% 상승, 지방권 0.24% 상승

-(주요 상승 5개 지역) ①제주 서귀포(1.56%), ②제주 제주시(1.42%), ③부산 해운대구(0.49%), ④대구 달성군(0.43%), ⑤대구 남구(0.42%)

ㅇ '16.2월중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전국 평균 0.17% 상승하여 안정세이며 서울 30개월 연속 상승, 제주특별자치도(1.08%)
5개월 연속 전국 시도 중 상승률 최고 기록

- 수도권 0.14% 상승, 지방권 0.22% 상승

-(주요 상승 5개 지역) ①제주 서귀포(1.12%), ②제주 제주시(1.06%), ③부산 해운대구(0.62%), ④경북 울릉군(0.53%), ⑤대구 중구(0.41%)

ㅇ '16.3월중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전국 평균 0.22% 상승하여 안정세이며 서울 31개월 연속 상승, 제주특별자치도(1.04%)
6개월 연속 전국 시도 중 상승률 최고 기록

- 수도권 0.18% 상승, 지방권 0.27% 상승

-(주요 상승 5개 지역) ①제주 서귀포(1.13%), ②제주 제주시(0.99%), ③부산 해운대구(0.64%), ④대구 남구(0.46%), ⑤대구 달성군(0.45%)

ㅇ '16.4월중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전국 평균 0.21% 상승하여 안정세이며 서울 32개월 연속 상승, 제주특별자치도(0.94%)
7개월 연속 전국 시도 중 상승률 최고 기록

- 수도권 0.20% 상승, 지방권 0.24% 상승

- (주요 상승 5개 지역) ①제주 서귀포(0.97%), ②제주 제주시(0.92%), ③부산 해운대구(0.68%), ④대구 달성군(0.42%), ⑤대구 남구(0.41%)

ㅇ '16.5월중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전국 평균 0.22% 상승하여 안정세이며 서울 33개월 연속 상승, 제주특별자치도(0.57%)
8개월 연속 전국 시도 중 상승률 최고 기록

- 수도권 0.21% 상승, 지방권 0.24% 상승

- (주요 상승 5개 지역) ①부산 해운대구(0.74%), ②제주 서귀포시(0.62%), ③제주 제주시(0.54%), ④부산 부산진구(0.49%), ⑤부산 남구(0.43%)

ㅇ '16.6월중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전국 평균 0.25% 상승하여 안정세이며 서울 34개월 연속 상승, 제주특별자치도(0.48%)
9개월 연속 전국 시도 중 상승률 최고 기록

- 수도권 0.24% 상승, 지방권 0.25% 상승

- (주요 상승 5개 지역) ①경기 의왕시(0.77%), ②부산 해운대구(0.63%), ③제주 서귀포시(0.55%), ④부산 부산진구(0.52%), ⑤부산 남구(0.50%)

ㅇ '16.7월중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전국 평균 0.24% 상승하여 안정세(69개월 연속 상승), 수도권 0.25% 상승, 지방권 0.24% 상승

- (주요 상승 5개 지역)

①부산 해운대구(0.60%), ②경기 평택시(0.60%), ③세종(0.58%), ④대전 유성구(0.48%), ⑤제주 서귀포(0.45%)

ㅇ '16.8월중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전국 평균 0.23% 상승하여 안정세(70개월 연속 상승), 수도권 0.23% 상승, 지방권 0.24% 상승

- (주요 상승 5개 지역)

①부산 해운대구(0.49%), ②제주 제주시(0.45%), ③부산 부산진구(0.44%), ④세종시(0.43%), ⑤제주 서귀포(0.43%)

ㅇ '16.9월중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전국 평균 0.24% 상승하여 안정세(71개월 연속 상승), 수도권 0.24% 상승, 지방권 0.24% 상승

- (주요 상승 5개 지역)

①부산 해운대구(0.73%), ②부산 남구(0.55%), ③부산 동래구(0.51%), ④부산 연제구(0.45%), ⑤제주 제주(0.44%)

ㅇ '16.10월중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전국 평균 0.25% 상승하여 안정세(72개월 연속 상승), 수도권 0.25% 상승, 지방권 0.25% 상승

- (주요 상승 5개 지역)

①경기 평택시(0.55%), ②부산 해운대구(0.54%), ③부산 동래구(0.50%), ④전남 여수시(0.48%), ⑤부산 수영구(0.48%)

ㅇ '16.11월중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전국 평균 0.24% 상승하여 안정세(73개월 연속 상승), 수도권 0.23% 상승, 지방권 0.26% 상승

- (주요 상승 5개 지역)

①부산 해운대구(0.54%), ②부산 수영구(0.52%), ③전남 여수시(0.52%), ④부산 동래구(0.50%), ⑤부산 연제구(0.50%)

ㅇ '16년도 연간 전국 지가는 2.70%상승(전년 대비 0.30%p 증가), '10.11월 이후 74개월 연속 소폭 상승 추세

- (주요 상승 지역) 제주(8.33%), 세종(4.78%), 부산(4.17%), 대구(3.93%) 순

ㅇ '17년 1월 전국지가는 0.18% 상승(전년 동월 대비 2.71%상승)

- 제주(0.43%), 세종(0.35%), 부산(0.32%), 대구(0.30%) 상승

ㅇ '17년 2월 전국지가는 0.23% 상승(전년 동월 대비 2.77% 상승)

- 제주(0.41%), 부산(0.39%), 세종(0.37%), 대구(0.34%) 상승

ㅇ '17년 1분기 전국지가는 0.74% 상승(전년 동기 대비 0.18% 상승)

- 제주(1.24%), 세종(1.23%), 부산(1.14%), 대구(1.00%) 상승

ㅇ '17년 4월 전국 0.32%상승(전년 동월 대비 2.98% 상승)- 제주(0.56%), 부산(0.43%), 세종(0.43%), 광주(0.35%) 상승

ㅇ '17년 5월 전국 0.387%상승- 79개월 연속 소폭 상승세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7년 6월 전국 0.391%상승, '17년 상반기 전국 1.84% 상승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7년 7월 전국 0.39%상승, '10년 11월 이후 81개월 연속 상승세, 전년 누계(1.49%) 대비 상승폭 확대

- 수도권(0.39%)이 지방(0.38%)보다 소폭 상승,

- 부산 해운대구(0.87%)는 재건축아파트 가격 상승 등으로 가장 높은 상승률 기록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7년 8월 전국 0.35% 상승, 82개월 연속 상승세, 전년 누계(1.73%) 대비 상승폭 확대('17.8월 누계 2.60%)

- 주거용 및 상업용 부동산 투자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상승폭 확대, 개발수요가 많은 세종, 부산, 제주지역 높은 상승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7년 3분기 누계 전국 지가 2.92%, 전년 동기 대비 0.95% 상승

- 저금리 기조에 따른 주거용.상업용 부동산 투자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하였으나, 부동산8.2대책과 계절적 비수기
등 영향으로 8월이후 상승세는 둔화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7년 10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29% 상승(부산(0.53%), 세종(0.43%), 제주(0.41%), 대구(0.36%) 순으로 상승)

- 부산, 세종 등 개발호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 지속, 8.2대책과 추석연휴 영향 등으로 8월 이후 상승세 둔화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7년 11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2% 상승(세종(0.59%), 부산(0.55%), 제주(0.45%), 대구(0.41%) 순으로 상승)

- 8.2대책과 추석연휴 영향 등으로 8월 이후 상승세 둔화되었으나, 서울, 세종 등 개발 호재 지역 중심으로 소폭 상승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7년도 연간 전국 지가는 3.88%상승(전년 대비 1.18%p 증가), '10.11월 이후 87개월 연속 소폭 상승 추세

- (주요 상승 지역) 세종(7.02%), 부산(6.51%), 제주(5.46%) 순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8년 1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3% 상승(세종(0.58%), 부산(0.52%), 제주(0.49%), 서울(0.42%) 순으로 상승)

- '08년 이후 지가안정기에 비해 높은 수준이나, 과거 지가 급등기와 비교시 우려수준은 아닌것으로 판단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8년 2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1% 상승(부산(0.48%), 세종(0.43%), 서울(0.42%), 제주(0.34%) 순으로 상승)

- '08년 이후 지가안정기에 비해 높은 수준이나, 과거 지가 급등기와 비교시 우려수준은 아닌것으로 판단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8년 3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5% 상승(세종(0.55%), 부산(0.52%), 서울(0.44%)% 순으로 상승)

- '08년 이후 지가안정기에 비해 높은 수준이나, 과거 지가 급등기와 비교시 우려수준은 아닌것으로 판단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8년 4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3% 상승(세종(0.61%), 부산(0.49%), 대구(0.42%)% 순으로 상승)

- '08년 이후 지가안정기에 비해 높은 수준이나, 과거 지가 급등기와 비교시 우려수준은 아닌것으로 판단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8년 5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5% 상승(세종(0.62%), 부산(0.51%), 대구(0.42%)% 순으로 상승)

- '08년 이후 지가안정기에 비해 높은 수준이나, 과거 지가 급등기와 비교시 우려수준은 아닌것으로 판단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8년 6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7% 상승(세종(0.67%), 부산(0.50%), 서울(0.42%)% 순으로 상승)

- '08년 이후 지가안정기에 비해 높은 수준이나, 과거 지가 급등기와 비교시 우려수준은 아닌것으로 판단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8년 7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40% 상승(세종(0.81%), 서울(0.56%), 제주(0.53%), 부산(0.51%)순으로 상승)

- '08년 이후 지가안정기에 비해 높은 수준이나, 과거 지가 급등기와 비교시 우려수준은 아닌것으로 판단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8년 8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42% 상승(제주(0.70%), 서울(0.61%), 세종(0.50%), 부산(0.46%)순으로 상승)

- '08년 이후 지가안정기에 비해 높은 수준이나, 과거 지가 급등기와 비교시 우려수준은 아닌것으로 판단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18년 3분기 전국 지가변동률은 3.33% 상승(세종(5.42%), 부산(4.51%), 서울(4.30%), 제주(4.08%) 순으로 상승)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18년 10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46% 상승( 세종(0.85%), 서울(0.69%), 광주(0.58%), 대구(0.48%) 순으로 상승)

ㅇ'18년 11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42% 상승(서울(0.61%), 광주(0.58%), 세종(0.53%), 대구(0.47%) 순으로 상승)

ㅇ'18년 연간 전국 지가변동률은 4.58% 상승(세종(7.42%), 서울(6.11%), 부산(5.74%), 광주(5.26%) 순으로 상승)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9년 1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1% 상승(세종(0.46%), 광주(0.43%), 서울(0.39%), 대구(0.39%) 순으로 상승)

ㅇ '19년 2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27% 상승(광주(0.41%), 세종(0.33%), 대구(0.33%), 인천(0.32%) 순으로 상승)

ㅇ '19년 1분기 전국 지가변동률은 0.88% 상승(광주(1.26%), 세종(1.18%), 대구(1.08%), 전남(1.04%) 순으로 상승)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9년 4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2% 상승(광주(0.43%), 대구(0.38%), 서울(0.38%), 인천(0.35%) 순으로 상승)

ㅇ '19년 5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3% 상승(세종(0.55%), 서울(0.45%), 대구(0.40%), 광주(0.38%) 순으로 상승)

ㅇ '19년 상반기 전국 지가변동률은 1.86% 상승(세종(2.66%), 광주(2.48%), 광주(2.%), 대구(2.26%) 순으로 상승)

- 향후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

ㅇ '19년 7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4% 상승(서울(0.48%), 세종(0.46%), 광주(0.40%), 대전(0.38%) 순으로 상승)

ㅇ '19년 8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3% 상승(서울(0.49%), 세종(0.41%), 대전(0.38%), 광주(0.38%) 순으로 상승)

ㅇ '20년 1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3% 상승하였으며, 대전(0.47%), 서울(0.46%), 세종(0.42%), 광주
(0.39%) 순으로 높게 상승

- '19년 12월(0.34%) 대비 0.01%p 감소하였으나, '19년 동월(0.31%) 대비 0.02%p 상승

ㅇ '20년 2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2% 상승하였으며, 대전(0.48%), 세종(0.44%), 서울(0.43%), 광주
(0.39%) 순으로 높게 상승

- '20년 1월(0.33%) 대비 0.01%p 감소하였으나, '19년 동월(0.27%) 대비 0.05%p 상승

* 대구(0.35% -> 0.25%, -0.10%p), 경북(0.18% -> 0.14%, -0.04%p) 지역은 코로나19가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산됨에 따라 매수 심리 위축

ㅇ '20년 1분기 전국 지가변동률은 0.92% 상승하였으며, 대전(1.33%), 서울(1.23%), 세종(1.16%), 광주
(1.09%) 순으로 상승

- '19년 1분기(0.88%) 대비 0.04%p 증가하였으나, '20년 2월 이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대부분 지역
에서 상승폭 둔화되며 '19년 4분기 지가변동률(1.01%) 대비 0.09%p 감소

ㅇ '20년 4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24% 상승하였으며, 서울(0.31%), 세종(0.30%), 인천, 대전, 경기
(0.29%) 순으로 높게 상승

- '20년 3월(0.27%) 대비 0.03%p 감소하였으며, '19년 동월(0.32%) 대비 0.08%p 낮은 수준

*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 영향이 나타나며, 전월 대비 상승폭 0.03%p 축소('20.3월,
0.27% -> 4월 0.24%)

ㅇ '20년 5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26% 상승하였으며, 서울(0.34%), 대전(0.33%), 경기(0.30%), 인천,
세종(0.29%) 순으로 높게 상승

- '20년 4월(0.24%) 대비 0.02%p 상승하였으나, '19년 동월(0.33%) 대비 0.07%p 낮은 수준

* 코로나19 확산이 5월 중 주춤해지고, 금리인하로 유동성이 증가한 가운데 국지적 개발호재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거래량이 증가하며 지가변동률 상승폭도 확대('20.4월 0.24% -> 5월, 0.26%)

ㅇ '20년 상반기 전국 지가변동률은 1.72% 상승하였으며, 대전(2.32%), 서울(2.26%), 세종(2.09%),
경기(2.01%) 순으로 상승,

- '19년 상반기(1.86%) 대비 0.14%p, '19년 하반기(2.01%) 대비 0.29%p 감소, '20년 5월(0.26%)
대비 0.04%p 상승, '19년 6월 대비
0.02%p 감소

* 상반기 및 2분기 지가변동률은 코로나 19 영향 전에 비해 상승폭이 둔화되었으나, 5월 회복세로 전환 후
6월에는 전월대비 상승폭 확대['(20.2월) 0.32% - (3월) 0.27% - (4월) 0.24% - (5월) 0.26% - (6월)
0.30%]

ㅇ '20년 7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0.33% 상승하였으며, 세종(1.71%), 서울(0.43%), 경기(0.35%), 부산
(0.33%) 순으로 상승

- 국회 분원 이전, 지역별 개발사업 등이 토지시장에 호재로 반응하여 당월 토지거래량이 증가하며 지가
변동률 상승폭 확대
('20.6월, 0.30% -> 7월, 0.33%)

ㅇ '20년 8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1% 상승하였으며, 세종(1.51%)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42%), 대구(0.31%), 경기(0.31%), 대전(0.31%) 순으로 상승, 제주(-0.07%)는 하락

-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기침체 및 정부정책 영향 등으로 당월 토지 거래량이 감소하여 지가변동률
상승폭 축소
('20.7월, 0.33% -> 8월, 0.31%)

ㅇ '20년 9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0% 상승하였으며, 세종(1.31%)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40%), 대전(0.35%), 경기(0.31%), 부산(0.30%) 순으로 상승, 제주(-0.08%)는 하락

-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기침체 및 정부정책 영향 등으로 지가변동률 상승폭 소폭 축소
('20.8월, 0.31% -> 9월, 0.30%)

ㅇ '20년 10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29% 상승하였으며, 세종(1.08%)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서울 및 대전(0.38%), 부산(0.34%), 경기(0.31%), 인천(0.30%) 순으로 상승, 제주
(-0.09%)는 '19년 5월 이후 하락세 지속

-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기침체 및 정부정책 영향 등으로 지가변동률 상승폭 소폭 축소
('20.9월, 0.30% -> 10월, 0.29%)

ㅇ '20년 11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2% 상승하였으며, 세종(1.38%)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
률을 보였고, 부산(0.46%), 대전(0.42%), 서울(0.41%), 광주(0.37%) 순으로 상승, 제주(-0.07%)는
'19년 5월 이후 하락세 지속

- 지역별 개발호재(교통망 개선, 재개발 등) 및 지방광역시 중심의 주택시장 상승세 등으로 당월 지가변동
률은 세종, 부산, 대전, 서울 등 대도시 중심으로 상승
('20.10월, 0.29% -> 11월, 0.32%)

ㅇ '20년 12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4% 상승하였으며, 세종(1.10%)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
률을 보였고, 부산.서울(0.44%), 대전(0.42%), 광주.대구(0.39%) 순으로 상승, 제주(-0.004%)는
'19년 5월 이후 하락세 지속

- 재개발.재건축 진척 및 교통망 개선, 국지적 개발 사업 등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전월 대비 상승
('20.11월, 0.32% -> 12월, 0.34%)

o '21년 1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1% 상승하였으며, 세종(0.82%)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41%), 대전(0.39%), 대구(0.34%) 순으로 상승, 제주(-0.01%)는 '19년 5월 이후
하락세 지속

- 국지적 개발 사업의 영향으로 지가는 전월 대비 0.31% 상승하였으나, 상승폭은 0.03%p 둔화
('20.12월 0.34% -> '21.1월 0.31%)

o '21년 2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1% 상승하였으며, 세종(0.66%)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42%), 대전(0.36%), 대구(0.32%), 경기(0.31%) 순으로 상승, 제주(-0.01%)는
'19년 5월 이후 하락세 지속

- 지역별 각종 개발사업의 영향으로 지가는 전월 대비 0.31% 상승, 상승폭은 전월과 동일
('21.1월 0.31% -> '21.2월 0.31%)

o '21년 3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4% 상승하였으며, 세종(0.69%)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43%), 대전(0.40%), 경기(0.35%), 대구(0.33%), 인천ㆍ전남(0.31%) 순으로 상승,
제주(-0.01%)는 '19년 5월 이후 하락세 지속

- 교통망 개선, 재개발ㆍ재건축 등 지역별 각종 개발사업의 영향으로 지가는 전월 대비 0.34% 상승, 상승폭
은 전월 대비 0.03%p 상승('21.2월 0.31% -> '21.3월 0.34%)

o '21년 4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5% 상승하였으며, 세종(0.63%)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45%), 대전(0.42%), 대구(0.37%), 경기(0.36%), 인천(0.35%) 순으로 상승

- 교통망 개선, 재개발 등 개발사업 이슈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과 유사한 수준으로 0.34% 상승
('21.3월 0.34% -> '21.4월 0.35%)

o '21년 5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4% 상승하였으며, 세종(0.62%)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43%), 대전(0.40%), 대구(0.37%), 경기(0.35%), 부산(0.35%) 순으로 상승

- 교통망 개선, 재개발 등 개발사업 이슈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35% 상승, 상승폭은 전월
대비 0.01%p 상승
('21.4월 0.35% -> '21.5월 0.34%)

o '21년 6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5% 상승하였으며, 세종(0.53%)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45%), 대전(0.39%), 대구(0.37%), 경기(0.36%), 부산(0.34%) 순으로 상승

- 교통호재, 재개발 등 개발사업 진행에 따라 개발 기대감 있는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35% 상승, 상승폭은 전월 대비 0.01%p 상승
('21.5월 0.34% -> '21.6월 0.35%)

o '21년 7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5% 상승하였으며, 세종(0.49%)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44%), 대전(0.40%), 대구(0.38%), 경기(0.37%), 부산(0.35%) 순으로 상승

- 재개발, 재건축, 교통개선 기대감 등 개발 이슈 있는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35% 상승,
상승폭은 전월과 동일
('21.6월 0.35% -> '21.7월 0.35%)

ㅇ '21년 8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6% 상승하였으며, 세종(0.50%)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43%), 인천(0.39%), 경기(0.38%), 대전.대구(0.37%), 부산(0.35%) 순으로 상승

- 재개발 호재, 교통망 개선 등 주건여건 향상 기대감 있는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36%
상승
('21.7월 0.35% -> '21.8월 0.36%)

ㅇ '21년 9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6% 상승하였으며, 세종(0.49%)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45%), 인천(0.39%), 경기.부산(0.38%), 대구(0.37%), 대전(0.36%) 순으로 상승

- 개발사업 진척 및 재개발, 교통 호재 등 정주여건 향상 기대감 있는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36% 상승
('21.8월 0.36% -> '21.9월 0.36%)

ㅇ '21년 10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5% 상승하였으며, 세종(0.51%)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
률을 보였고, 서울(0.43%), 대전(0.37%), 경기(0.36%), 인천(0.36%), 부산.대구(0.34%) 순으로 상승

- 재개발사업 및 교통 호재 등 정주여건 향상 기대감 있는 있는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35% 상승
('21.9월 0.36% -> '21.10월 0.35%)

ㅇ '21년 11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4% 상승하였으며, 세종(0.46%)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
률을 보였고, 서울(0.43%), 대전, 대구, 인천(0.36%), 경기(0.35%) 순으로 상승

- 재개발, 재건축, 교통망 개선 등 개발 기대감 있는 있는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34%
상승
('21.10월 0.35% -> '21.11월 0.34%)

ㅇ '21년 12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4% 상승하였으며, 세종(0.46%)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
률을 보였고, 서울(0.42%), 대구(0.37%), 대전(0.36%), 경기(0.34%) 순으로 상승

- 재개발, 재건축, 교통망 개선 등 향후 주거 여건 개선 기대감 있는 있는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34% 상승
('21.11월 0.34% -> '21.12월 0.34%)

ㅇ '22년 1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0% 상승하였으며, 세종(0.44%)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37%), 대전(0.33%), 경기(0.32%), 대구(0.30%) 순으로 상승

- 건물 신축 및 교통호재, 주택 재개발, 재건축 등 개발호재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30%
상승
('21.12월 0.34% -> '22.1월 0.30%)

ㅇ '22년 2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29% 상승하였으며, 세종(0.45%)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35%), 대전(0.34%), 경기(0.31%), 부산(0.29%) 순으로 상승

- 건물 신축 및 교통 호재, 주택 재개발, 재건축 등 개발 호재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29%
상승
('22.1월 0.30% -> '22.2월 0.29%)

ㅇ '22년 3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1% 상승하였으며, 세종(0.41%)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36%), 대전(0.34%), 경기.부산(0.33%), 인천(0.32%) 순으로 상승

- 건물 신축 및 교통 호재, 주택 재개발, 재건축 등 개발 호재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31%
상승
('22.2월 0.29% -> '22.3월 0.31%)

ㅇ '22년 4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2% 상승하였으며, 세종(0.41%)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38%), 대전(0.35%), 경기(0.34%), 부산(0.33%) 순으로 상승

- 건물 신축 및 교통 호재, 주택 재개발, 재건축 등 개발 호재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32%
상승
('22.3월 0.31% -> '22.4월 0.32%)

ㅇ '22년 5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4% 상승하였으며, 서울(0.41%)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세종(0.40%), 부산(0.36%), 경기.대전(0.35%) 순으로 상승

- 교통호재 및 주택 재개발, 재건축, 대규모 개발사업 등 개발 호재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34% 상승
('22.4월 0.32% -> '22.5월 0.34%)

ㅇ '22년 6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2% 상승하였으며, 세종(0.41%)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40%), 경기(0.34%), 대전(0.32%) 순으로 상승

- 교통망 개선, 주택 재개발, 재건축, 대규모 개발사업 및 상권활성화 등 각종 개발 호재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32% 상승
('22.5월 0.34% -> '22.6월 0.32%)

ㅇ '22년 7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30% 상승하였으며, 세종(0.39%)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38%), 경기(0.32%), 대전(0.31%) 순으로 상승

- 교통망 개선, 주택 재개발, 재건축, 대규모 개발사업 및 상권활성화 등 각종 개발 호재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30% 상승
('22.6월 0.32% -> '22.7월 0.30%)

ㅇ '22년 8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28% 상승하였으며, 세종(0.35%)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
을 보였고, 서울(0.34%), 경기(0.31%), 전남(0.26%) 순으로 상승

- 교통망 개선, 주택 재개발, 재건축, 대규모 개발사업 및 상권활성화 등 각종 개발 호재 지역 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28% 상승
('22.7월 0.30% -> '22.8월 0.28%)

ㅇ '22년 9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20% 상승하였으며, 경기(0.24%)가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
률을 보였고, 서울(0.21%), 세종(0.20%) 순으로 상승

- 금리인상으로 인한 자금조달 부담, 물가 상승 등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개발사업 및 상권
활성화 등 각종 호재 지역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20% 상승, 상승폭은 전월 대비 축소
('22.8월 0.28% -> '22.9월 0.20%)

ㅇ '22년 10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08% 상승하였으며, 강원(0.16%)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
률을 보였고, 전북(0.16%), 전남(0.15%) 순으로 상승

- 금리인상으로 인한 자금조달 부담, 물가 상승 등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개발사업 및 상권
활성화 등 일부 호재 지역중심으로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08% 상승, 상승폭은 전월 대비 축소
('22.9월 0.20% -> '22.10월 0.08%)

ㅇ '22년 11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01% 하락하였으며, 전북(0.11%), 강원(0.09) 등 12개
시도가 전국 평균(-0.01%) 보다 높게 상승하였고, 5개 시도(서울, 인천, 대전, 세종, 제주)가 전국 평균을
하회하며 하락 전환
('22.10월 0.08% -> '22.11월 -0.01%)

ㅇ '22년 12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03% 하락하였으며, 세종(-0.10%)이 전국 시도중 최고
하락률을 보였고, 대전(-0.10%), 서울(-0.09%), 제주(-0.09%) 순으로 하락

- 금리인상으로 인한 자금조달 부담, 고가 인식 및 수요 감소 등 부동산 경기침체가 이어지며 전월 대비
하락폭 확대, 0.03% 하락
('22.11월 -0.01% -> '22.12월 -0.03%)

ㅇ '23년 1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04% 하락하였으며, 제주(-0.12%)가 전국 시도 중 최고
하락률을 보였고, 세종(-0.08%), 서울(-0.07%), 대전(-0.05%) 순으로 하락

- 고금리로 인한 자금조달 부담, 고가 인식 및 수요 감소 등 부동산 경기침체가 이어지며 전월 대비
하락폭 확대, 0.04% 하락
('22.12월 -0.03% -> '23.1월 -0.04%)

ㅇ '23년 2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02% 하락하였으며, 제주(-0.10%)가 전국 시도 중 최고
하락률을 보였고, 대구(-0.06%), 서울(-0.04%), 대전(-0.04%) 순으로 하락

- 고가 인식에 따른 관망세 및 수요 감소 등 부동산 경기침체가 이어지며 하락세 지속, 전월 대비 하락폭
축소하며 0.02% 하락
('23.1월 -0.04% -> '23.2월 -0.02%)

ㅇ '23년 3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01% 상승하였으며, 세종(0.07%)가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충남(0.06%), 대전(0.04%), 강원(0.03%) 순으로 상승

- 지가 상승둔화 및 하락을 견인하던 주거용 부동산의 지가 하락폭 축소가 이어지며 전월 대비 0.01% 상승하며 5개월 만에 상승전환
('23.2월 -0.02% -> '23.3월 0.01%)

ㅇ '23년 4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02% 상승하였으며, 충남(0.06%)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세종(0.06%), 대전(0.05%), 인천(0.04%) 순으로 상승

- 지가 상승둔화 및 하락을 견인하던 주거용 부동산의 지가 하락폭 축소가 이어지며 전월 대비 0.02% 상승, 전월에 이어 지가상승 지속
('23.3월 0.01% -> '23.4월 0.02%)

ㅇ '23년 5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04% 상승하였으며, 인천(0.08%)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충남(0.07%), 경기(0.06%), 서울(0.05%) 순으로 상승

- 당월 용도지역, 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은 보합 및 0.1% 내외의 변동률을 나타내며 전국평균 0.04% 상승, 전월에 이어 지가상승 지속
('23.4월 0.02% -> '23.5월 0.04%)

ㅇ '23년 6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05% 상승하였으며, 인천(0.08%)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충남(0.08%), 대전(0.07%), 경기(0.07%) 순으로 상승

- 당월 전국평균 0.05% 상승하며 '23년 3월 지가 상승 전환 이후 4개월 연속 상승세
('23.5월 0.04% -> '23.6월 0.05%)

ㅇ '23년 7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06% 상승하였으며, 서울(0.09%)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대전(0.09%), 인천(0.08%), 경기(0.07%) 순으로 상승

- 당월 전국평균 0.06% 상승하며 '23년 3월 지가 상승 전환 이후 5개월 연속 상승세
('23.6월 0.05% -> '23.7월 0.06%)

ㅇ '23년 8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11% 상승하였으며, 경기(0.15%)가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서울(0.14%), 세종(0.14%), 경북(0.10%) 순으로 상승

- 당월 전국평균 0.11% 상승하며 '23년 3월 지가 상승 전환 이후 6개월 연속 상승세
('23.7월 0.06% -> '23.8월 0.11%)

ㅇ '23년 9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13% 상승하였으며, 서울(0.21%)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세종(0.16%), 경기(0.14%), 충북(0.11%) 순으로 상승

- 당월 전국평균 0.13% 상승하며 '23년 3월 지가 상승 전환 이후 매월 상승폭을 확대하며
7개월 연속 상승세
('23.8월 0.11% -> '23.9월 0.13%)

ㅇ '23년 10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16% 상승하였으며, 서울(0.25%)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세종(0.18%), 경기(0.17%), 충북(0.17%) 순으로 상승

- 당월 전국평균 0.16% 상승하며 '23년 3월 지가 상승 전환 이후 매월 상승폭을 확대하며
8개월 연속 상승세
('23.9월 0.13% -> '23.10월 0.16%)

ㅇ '23년 11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16% 상승하였으며, 서울(0.23%)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세종(0.23%), 경기(0.19%) 순으로 상승

- 당월 전국평균 0.16% 상승하며 '23년 3월 지가 상승 전환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며
9개월 연속 상승
('23.10월 0.16% -> '23.11월 0.16%)

ㅇ '23년 12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15% 상승하였으며, 세종(0.29%)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경기(0.19%), 서울(0.19%) 순으로 상승

- 당월 전국평균 0.15% 상승하며 '23년 3월 지가 상승 전환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며
10개월 연속 상승
('23.11월 0.16% -> '23.12월 0.15%)

ㅇ '24년 1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13% 상승하였으며, 경기(0.18%)가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세종(0.16%), 서울(0.16%) 순으로 상승

- 당월 전국평균 0.13% 상승하며 11개월 연속 상승하였으나 '23년 10월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폭 축소를 이어가고 있음
('23.11월 0.16% -> '23.12월 0.15% -> '24.1월 0.13%)

ㅇ '24년 2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13% 상승하였으며, 경기(0.20%)가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서울(0.16%), 인천(0.14%) 순으로 상승

- 당월 전국평균 0.13% 상승하며 12개월 연속 상승하였으며 전월 대비 상승폭이 소폭 확대되었음

ㅇ '24년 3월 전국 지가변동률은 전월 대비 0.17% 상승하였으며, 서울(0.23%)이 전국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경기(0.211%) 순으로 상승

- 당월 전국평균 0.17% 상승하며 13개월 연속 상승하였으며 전월 대비 상승폭이 확대되었음








■ 향후 전망

ㅇ 향후 '20년 2월 이후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영향 등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
적인 정책 노력

- ('20년 7월) 국지적 개발 호재 및 주택시장 상승세에 따라 '20.5월 이후 전국적으로 지가변동률 상승폭
확대 및 토지 거래량 증가 추세로, 향후 토지시장 과열로 이어질 가능성에 따라 토지시장 지속 모니터링
필요

- ('20년 8월) 경기침체 및 수도권 중심 주택시장 상승폭 축소 영향 등으로 토지 거래량 감소 및 지변율
상승폭 둔화 추세로, 향후 토지시장 지속 모니터링 필요

- ('20년 9월)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경기 위축 우려 및 수도권 중심 주택시장 상승폭 축소 영향 등으로
토지거래량 및 지변율 상승폭 둔화 추세이나, 향후 토지시장 지속 모니터링 필요

- ('20년 10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투자심리 및 경기 위축, 수도권 중심 주택시장 상승폭 축소 영향
등으로 토지 거래량 및 지변율 상승폭 둔화 추세이며, 향후 토지시장 지속 모니터링 필요

- ('20년 11월) 비규제지역인 지방광역시 중심의 주택시장 상승세, 토지거래량 증가 및 지가변동률 상승폭
확대 추세이며, 향후 토지시장 지속 모니터링 필요

- ('20년 12월) 최근 토지가격의 변동률 및 거래량이 상승 추세로 향후 토지시장 과열 가능성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 및 적극 대응 필요

- ('21년 1월) 당월은 전월 대비 지가변동률 상승폭이 둔화되었으나, 향후 토지시장 과열 가능성 등을 지속
모니터링 계획

- ('21년 2월) 개발 영향지역에 대한 토지시장 과열 가능성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 계획

- ('21년 3월) 개발사업 영향지역에 따른 토지가격 및 거래량 등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1년 4월) 개발사업 진행상황에 따른 지가동향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1년 5월) 개발사업 진행상황에 따른 지가동향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1년 6월) 개발사업 진행상황에 따른 지가동향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1년 7월) 개발사업 진행상황에 따른 지가동향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1년 8월) 개발사업 진척사항에 따른 지가동향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1년 9월) 금리인상, 대출규제 등 거래심리 위축 요소 및 개발사업 진척사항에 따른
토지시장 변동성 등을 지속 모니터링 할 계획

- ('21년 10월) 금리인상 및 대출규제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 요소 등 토지시장 변동성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1년 11월) 금리인상 및 대출규제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 요소 등 토지시장 변동성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1년 12월) 금리인상 및 대출규제 등 토지 가격 및 토지 거래량 변동추이 등 토지시장 변동성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2년 1월) 금리인상 및 대출규제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 요소 및 개발사업 진척사항에 따른 토지시장
변동성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2년 2월) 금리인상, 대출규제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 요소 및 개발사업 진척사항에 따른 토지시장
변동성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2년 3월) 금리인상, 대출규제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 요소 및 개발사업 진척사항에 따른 토지시장
변동성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2년 4월) 금리인상, 대출규제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 요소 및 개발사업 진척사항에 따른 토지시장
변동성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2년 5월) 금리인상, 물가상승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 및 관망세 기조와 개발사업 진척사항에 따른
토지시장 변동성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2년 6월) 금리인상, 물가상승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 및 관망세 기조와 개발사업 진척사항에 따른
토지시장 변동성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

- ('22년 7월)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 및 물가상승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요인과 관망세
기조, 개발사업 진척사항에 따른 토지시장 변동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

- ('22년 8월) 금리인상 및 물가상승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 요인과 관망세 기조, 개발사업 영향권 인근
토지시장 변동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

- ('22년 9월) 금리인상 및 물가상승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 요인과 관망세 기조, 개발사업 영향권 인근
토지시장의 변동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

- ('22년 10월) 금리인상 및 물가상승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 요인과 관망세 기조, 향후 지가상승폭 축소
및 지가 하락 전환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

- ('22년 11월) 금리인상 및 물가상승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 요인과 관망세 기조, 지가 하락의 낙폭
정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

- ('22년 12월) 금리인상 및 물가상승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 요인과 관망세 기조, 지가 하락의 낙폭
변동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

- ('23년 1월) 고금리 및 물가상승 등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 요인과 관망세 기조, 지가 하락의 낙폭
변동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

- ('23년 2월) 부동산 매수 심리위축 요인과 관망세 기조, 지가 하락의 낙폭 변동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

- ('23년 3월) 부동산 매수 심리위축 요인과 관망세 기조, 지가 변동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

- ('23년 4월) 부동산 매수 심리위축 요인과 관망세 기조 및 각종 개발호재에 따른 지가 변동추이를 지속적
으로 모니터링할 계획

- ('23년 5월) 부동산 매수 심리위축 요인과 관망세 기조 및 각종 개발호재에 따른 지가 변동추이를 지속적
으로 모니터링할 계획

- ('23년 6월) 지가 상승폭 확대 등 각종 개발호재에 따른 지가 변동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

- ('23년 7월) 지가의 상승전환을 나타낸 시도의 상승폭과 지속적 하락을 나타내는 시도의 하락폭 격차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

- ('23년 8월) 지가의 상승전환을 나타낸 시군구의 상승폭과 약보합세를 나타내는 시군구의 격차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

- ('23년 9월) 지가의 상승전환('23.3) 이후 전월 대비 상승 격차 및 지속적인 상승, 보합을 유지하는 지역 등을 모니터링할 계획

- ('23년 10월) 전월 대비 상승폭을 확대해나가는 지역과 약보합세를 지속하는 지역 간 격차 등을 모니터링할 계획

- ('23년 11월) 전월 대비 상승폭을 확대해나가는 지역과 약보합세를 지속하는 지역 간 격차 등을 모니터링할 계획

- ('23년 12월) 전국 지가변동률 상승폭이 2개월 연속 축소를 보임에 따라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토지시장 동향을 면밀히 파악할 예정

- ('24년 1월) 전월 대비 상승폭을 확대해나가는 지역과 약보합세를 지속하는 지역 간 격차 등을 모니터링할 계획

- ('24년 2월) 교통망 확대 및 토지규제완화 등 지가 변동 요인이 포착되는 지역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예정

- ('24년 3월) 교통망 확대 및 토지규제완화 등 지가 변동 요인이 포착되는 지역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예정


유의사항

지수의 기준시점 : 2016년 12월 1일자 = 100
월별 변동률 : ((당해월 지가지수/전월지가지수)-1 ))*100
누계 변동률 : ((당해월 지가지수 / 전년말 지가지수)-1))*100


관련용어

용도지역 : 도시계획구역 안에서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공공복리 및 도시기능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토지 이용의 용도가 지정된 지역(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으로 나눈다)

관리지역 :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

보전관리지역 : 자연환경보호, 산림보호, 수질오염방지, 녹지공간 확보 및 생태계 보전 등을 위하여 보전이 필요하나, 주변의 용도지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기가 곤란한 지역

생산관리지역 : 농업ㆍ임업ㆍ어업생산 등을 위하여 관리가 필요하나, 주변의 용도지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농림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기가 곤란한 지역

계획관리지역 : 도시지역으로의 편입이 예상되는 지역 또는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제한적인 이용ㆍ개발을 하려는 지역으로서 계획적ㆍ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

농림지역 : 도시지역에 속하지 아니하는 농지법에 의한 농업진흥지역 또는 산지관리법에 의한 보전산지 등으로서 농림업의 진흥과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 자연환경, 수자원, 해안, 생태계, 상수원 및 문화재의 보전과 수산자원의보호, 육성 등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주거지역 : 거주의 안녕과 건전한 생활환경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상업지역 : 상업 그밖의 업무의 편익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공업지역 : 중공업의 편익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녹지지역 : 자연환경, 농지 및 산림의 보호, 보건위생, 보안과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녹지의 보전이 필요하여 도시관리계획의 결정에 의해 정정한 지역

개발제한구역 : 도시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거나 국방부장관의 요청이 있어 보안상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건설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구역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국토교통부, 부동산평가과, 044-201-3429

최근 갱신일 :   2024-04-26(입력예정일 : 2024-05-27)

자료 출처 :   『지가동향』 -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r-one.co.kr) 홈페이지에 매월 자료 공개

공표 주기 :   매월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100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4년 3월 기준).hwp 2024-04-26
99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4년 2월 기준).hwp 2024-04-26
98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4년 1월 기준).hwp 2024-04-26
97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3년 12월 기준).hwp 2024-04-26
96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3년 11월 기준).hwp 2024-04-26
95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3년 10월 기준).hwp 2024-04-26
94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3년 9월 기준).hwp 2024-04-26
93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3년 8월 기준).hwp 2024-04-26
92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3년 7월 기준).hwp 2024-04-26
91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3년 6월 기준).hwp 2024-04-26
90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3년 5월 기준).hwp 2024-04-26
89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3년 4월 기준).hwp 2024-04-26
88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3년 2월 기준).hwp 2024-04-26
87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3년 3월 기준).hwp 2024-04-26
86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3년 1월 기준).hwp 2024-04-26
85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2년 1월 기준).hwp 2024-04-26
84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2년 2월 기준).hwp 2024-04-26
83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2년 3월 기준).hwp 2024-04-26
82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2년 4월 기준).hwp 2024-04-26
81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2년 5월 기준).hwp 2024-04-26
80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2년 6월 기준).hwp 2024-04-26
79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2년 7월 기준).hwp 2024-04-26
78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2년 8월 기준).hwp 2024-04-26
77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2년 9월 기준).hwp 2024-04-26
76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2년 10월 기준).hwp 2024-04-26
75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2년 11월 기준).hwp 2024-04-26
74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2년 12월 기준).hwp 2024-04-26
73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1년 3월 기준).hwp 2024-04-26
72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1년 4월 기준).hwp 2024-04-26
71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1년 5월 기준).hwp 2024-04-26
70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1년 6월 기준).hwp 2024-04-26
69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1년 7월 기준).hwp 2024-04-26
68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1년 8월 기준).hwp 2024-04-26
67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1년 9월 기준).hwp 2024-04-26
66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1년 10월 기준).hwp 2024-04-26
65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1년 11월 기준).hwp 2024-04-26
64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1년 12월 기준).hwp 2024-04-26
63 주요통계(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 '21년 2월 기준).hwp 2024-04-26
62 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21년 1월말 기준).hwp 2024-04-26
61 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20년 12월말 기준).hwp 2024-04-26
60 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20년 11월말 기준).hwp 2024-04-26
59 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20년 10월말 기준).hwp 2024-04-26
58 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20년 9월말 기준).hwp 2024-04-26
57 연도별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20년 8월말 기준).hwp 2024-04-26
56 연도별ㆍ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20년 7월말 기준).hwp 2024-04-26
55 연도별 및 지역별 지가변동률 현황('20.6월말 기준).hwp 2024-04-26
54 18년 7월_주요통계.hwp 2024-04-26
53 18년 6월_주요통계.hwp 2024-04-26
52 3_18년 5월_주요통계.hwp 2024-04-26
51 3_18년 4월_주요통계.hwp 2024-04-26
50 3_8년 3월_주요통계.hwp 2024-04-26
49 18년 2월_주요통계.hwp 2024-04-26
48 4.18년 1월_주요통계.hwp 2024-04-26
47 17년 12월_주요통계.hwp 2024-04-26
46 17년 11월_주요통계.hwp 2024-04-26
45 17년 10월_주요통계.hwp 2024-04-26
44 17년 9월_주요통계.hwp 2024-04-26
43 17년 8월_주요통계.hwp 2024-04-26
42 17년 7월_주요통계.hwp 2024-04-26
41 17년 6월_주요통계.hwp 2024-04-26
40 17년 5월_주요통계.hwp 2024-04-26
39 17년 4월_주요통계.hwp 2024-04-26
38 17년 3월_주요통계.hwp 2024-04-26
37 17년 2월_주요통계.hwp 2024-04-26
36 17년 1월_주요통계.hwp 2024-04-26
35 16년 12월_주요통계.hwp 2024-04-26
34 16년 11월_주요통계.hwp 2024-04-26
33 4.16년 10월_주요통계.hwp 2024-04-26
32 4.16년 9월_주요통계.hwp 2024-04-26
31 4.16년 8월_주요통계.hwp 2024-04-26
30 16년 7월_주요통계.hwp 2024-04-26
29 16년 6월_주요통계.hwp 2024-04-26
28 16년 5월_주요통계.hwp 2024-04-26
27 16년 4월_주요통계.hwp 2024-04-26
26 16년 3월_주요통계.hwp 2024-04-26
25 16년 2월_주요통계.hwp 2024-04-26
24 16년 1월_주요통계.hwp 2024-04-26
23 15년 12월_주요통계.hwp 2024-04-26
22 15년 11월_주요통계.hwp 2024-04-26
21 15년 10월_주요통계.hwp 2024-04-26
20 15년 9월_주요통계.hwp 2024-04-26
19 15년 8월_주요통계.hwp 2024-04-26
18 15년 7월_주요통계.hwp 2024-04-26
17 15년 6월_주요통계.hwp 2024-04-26
16 15년 5월_주요통계.hwp 2024-04-26
15 15년 4월_주요통계.hwp 2024-04-26
14 15년 3월_주요통계.hwp 2024-04-26
13 15년 2월_주요통계.hwp 2024-04-26
12 15년 1월_주요통계.hwp 2024-04-26
11 150129(조간) 14년 지가동향 및 토지거래량(토지정책과).hwp 2024-04-26
10 14년 12월.hwp 2024-04-26
9 2014년 11월_주요통계.hwp 2024-04-26
8 2014년 11월 자료(지변율 등).hwp 2024-04-26
7 2014년 10월 지가변동률.xls 2024-04-26
6 2014년 10월 지가지수.xls 2024-04-26
5 2014년 9월 지가변동률.xls 2024-04-26
4 4.14년 9월_주요통계.hwp 2024-04-26
3 140930(석간) 14.8월 지가동향 및 토지거래량(토지정책과).hwp 2024-04-26
2 140828(석간)14.7월 지가동향 및 토지거래량(토지정책과).hwp 2024-04-26
1 140724(석간)14.6월 지가동향 및 토지거래량(토지정책과).hwp 2024-04-26
관련 법령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