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는 남 · 북한을 제외한 191개 유엔회원국 및 유엔비회원국인 교황청, 니우에, 쿡제도와 수교
■ 남 · 북한의 수교 동향 분석
° 수교현황은 남한 194개, 북한은 수교국 159개
- 북한과의 수교국에 '팔레스타인' 추가(1988.11 북한의 팔레스타인 국가승인)
- 2011.4월 북한과 남수단의 외교관계 수립 확인
- 2018.2 요르단 정부, 북한과 외교관계 단절 공식 발표
- 2019.7 북마케도니아(구 마케도니아)와 외교관계 수립
- 2021.3 북한, 말레이시아 단교, 주북한대사관 철수
- 2022.7 우크라이나정부, 북한과 외교관계 단절 공식 발표
- 2023.5 니우에와 외교관계 수립
- 2024.2 쿠바와 외교관계 수립
- 2025.4 시리아와 외교관계 수립
° 유럽 · 아프리카 · 중동 지역은 우리나라와 북한이 비슷한 수준의 수교 국가를 유지하고 있음
- 유럽지역 국가들은 오랫동안 정치적으로 좌파와 우파가 공존하면서 안정적 관계를 유지하는 사회구조를 지니고 있어 남 · 북한에 대해 동시수교를 하는 국가가 많음
- 아프리카 · 중동지역 국가들은 국가 경제의 어려움으로 또는 경제원조에 크게 영향을 받거나 정치보다는 종교적 색채가 짙은 국가사회구조로 인해 남 · 북한 동시수교가 일반적임
° 아메리카· 아시아 지역은 우리나라 단독 수교가 타지역에 비해 월등히 많음
- 아메리카지역은 미국 및 미국의 정치적 영향력이 크게 미치는 중남미국가들이 북한과의 수교에 특별한 이해가 걸려있지 않은 것과 아시아지역은 우리나라 단독 수교 국가들이 태평양제도 국가들이 대부분으로 국력이나 경제력이 크지 않아 북한과의 수교에 큰 이해관계가 없으며 북한 또한 이들 국가와의 수교에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기 때문임
■ 향후 전망 및 계획
° 국가간 외교관계 수립(수교)는 양국가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등 다방면에서의 검토와 국제관계등을 고려하여 상호합의에 의해 체결하는 것으로 예측 및 계획 수립에 어려움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