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IMD 교육경쟁력 2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IMD 교육경쟁력 평가 개요

° (주관)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은 ’89년부터 OECD 회원국 및 신흥공업경제지역(NIEs)을 대상으로 매년 국가경쟁력을 분석
° (평가 국가)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등 기준 67개국
* 전년도 64개국에서 가나, 나이지리아, 푸에르토리코 추가
- ‘09년 57개국, ’10년 58개국, ‘11~’12년 59개국, ‘13~’14년 60개국, ‘15∼’16년 61개국, ’17∼‘20년 63개국, ’21년 64개국, '22년 63개국, '23년 64개국, `24년 67개국
° (평가영역) : 경제적 성과, 정부행정의 효율성, 기업경영의 효율성, 인프라*
* 교육부문 지표는 ‘인프라’영역에 포함
° (교육부문 평가 지표) 정량지표 11개, 정성지표 4개(총 15개)
※ 순위에 반영되지 않는 배경지표 4개(정량지표) 포함 시 19개 지표로 구성


지표해석

■ IMD 평가 결과 순위

- 교육경쟁력 순위 : (’09)36위→ (’10)35위→ (’11)29위→ (’12)31위→ (’13)25위→ (’14)31위→ (’15)32위→ (’16)33위→ (’17)37위→ (’18)25위→ (’19)30위→ ('20)27위→ ('21)30위→ ('22)29위→ ('23)26위→ (`24)19위

- 국가경쟁력 순위 : (’09)27위→ (’10)23위→ (’11)22위 → (’12)22위→ (’13)22위→ (’14)26위→ (’15)25위→ (’16)29위→ (’17)29위→ (’18)27위→ (’19)28위→ ('20)23위→ ('21)23위→ ('22)27위→ (`23)28위→ (`24)20위

■ `24년 교육부문 평가지표별 순위 분석

○ ’23년 대비 8개 지표 상승, 4개 지표 하락, 3개 지표는 동일
- 상승(8) : 중등학교 교사 1인당 학생 수, 중등학교 취학률, 학업성취도(PISA), 대학교육 지수, 초등 및 중등교육, 대학교육, 경영교육, 언어능력
- 하락(4) : GDP 대비 정보재원 총 교육비, 학생 1인당 정부재원 총 교육비, 초등학교 교사 1인당 학생 수, 25-65세 여성의 고등교육 이수율
- 동일(3) : 25-34세 인구의 고등교육 이수율, 인구 천명당 고등교육 외국인 학생 수, 15세 이상 문맹률
* 순위산출에 활용되지 않는 배경지표(4개)는 제외함.
- 배경지표(4) : 국민 1인당 정부재원 총 교육비, 인구 천명당 고등교육 유학생 수, 성취수준이 낮지 않은 학생비율(PISA), 영어숙달도(토플성적)


유의사항

o 설문지표의 경우 1-6점 척도를 10점을 만점으로 환산함.

관련용어

국가경쟁력 : 기업의 경쟁력을 지속시킬 수 있는 제반여건들을 창출하고 유지할 수 있는 국가의 능력

통계지표 : IMD가 IMF, OECD, UNESCO 등으로부터 받은 통계수치를 활용함.

설문지표 : 경제의 일선 현장에 있는 CEO 등을 대상으로 교육을 통한 인적자원이 얼마나 기업의 요구에 부합하는가를 묻는 설문조사의 결과로 산출됨.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교육부, 교육데이터담당관실, 043-530-9674

최근 갱신일 :   2025-03-27(입력예정일 : 2025-12-31)

자료 출처 :   IMD 교육경쟁력 분석보고서

공표 주기 :   1년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