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지역내총생산(GRDP) 8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역내 총생산(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 GRDP)

o 일정기간 동안 정해진 경제구역 내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격 합으로 경제구조나 규모 파악에 활용

■ 지역소득통계의 추계목적 및 활용도

o 추계목적
- 지역소득의 생산, 분배, 지출 각 측면이나 경제주체간 소득 순환을 파악하여, 지역경제의 실태를 포괄적으로 나타내주어 지역의 재정, 경제시책 수립에 필요한 자료 제공

o 활용도
- 국민경제상의 지역(시·도) 경제의 위치를 알게 하고, 지역경제 상호간의 비교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국민경제의 지역적 분석과 지역개발시책 수립에 활용
- 지역내 산업구조의 실태를 파악하여 산업시책의 구체적 방향 결정, 소득분배의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효율적 생산요소 재분배, 지역 총수요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경제성장에 있어 각각의 기여율을 측정하여 효율적인 수요방안 강구
- 담세능력의 평가척도인 주민의 담세율로부터 지방세 수입을 합리적으로 계획, 지방세제 개정의 기초자료로 이용
- 지역경제구조를 계량적으로 파악하여 지역경제의 장기 예측


지표해석

■ GRDP 수치증감 및 변동요인

 o  2023년 전국 지역내총생산은 2,404조원으로 전년보다 77조원(3.3%) 증가
   - 지역별로 보면 경기(594조원), 서울(548조원)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세종(17조원)이 가장 작았음
 
 o  전국 지역내총생산은 운수업, 제조업, 보건·사회복지업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대비 1.4% 증가
   - 인천(4.8%), 대전(3.6%), 울산(3.2%) 등은 운수업, 제조업, 건설업 등이 늘어 증가하였으며, 충북(-0.4%), 전북(-0.2%)은 제조업, 농림어업 등이 줄어 감소

 o  수도권의 지역내총생산(명목)은 전국의 52.3%를 차지

■ 향후 정책방향

o 향후 정책 수립·시행·평가의 기초자료로 이용, 지역간 불균형 해소를 위한 국가 균형발전의 지표로 활용


유의사항

o 『지역내총생산(GRDP)』은 『국내총생산(GDP)』과 마찬가지로 UN이 권고한 국민계정체계(SNA)에 따라 추계하는 공통점이 있으나, 추계시 이용하는 기초자료와 자료이용 방법에 다소 차이가 있어 시·도별 지역내총생산의 합계와 국내총생산이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음
o 지역내총생산(GRDP)은 생산측면의 부가가치로서 각 시·도 내에서 경제활동별로 얼마만큼의 부가가치가 발생 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임


관련용어

성장률(Growth rate) : 성장률은 일정기간 동안 각 경제활동 부문이 만들어낸 부가가치가 전년에 비하여 얼마나 증가하였는가를 보기 위한 지표로서 특정 지역의 경제가 이룩한 성과를 측정하는 중요한 척도로 이용되고 있음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통계청, 소득통계과, 042-481-3851

최근 갱신일 :   2025-03-31(입력예정일 : 2025-09-30)

자료 출처 :   통계청,「지역소득」

공표 주기 :   1년

연관지표

정책정보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