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력수급 동향 6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표 개념

ㅇ 최대전력수요 : 일년중 전력사용이 최대로 되는 순간의 전력수요를 의미

ㅇ 발전설비 용량 : 전력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발전소 용량의 확보 정도를 의미

ㅇ 예비율 : 최대 전력수요에 비해서 발전설비 용량이 얼마나 여유가 있는지를 의미하며 총 발전설비 용량의 여유를 의미하는 설비예비율과 총 발전설비 용량에서 고장, 정비 등을 차감한 여유를 의미하는 공급예비율로 나눌 수 있음

■ 지표 의의 및 활용도

ㅇ 전력은 저장이 불가능하고 매순간 수요와 공급이 일치되어야 하므로 항상 최대 전력수요보다 어느 정도 여유를 가진 공급능력(발전설비용량)을 갖추어야 하며, 이 여유정도는 예비율을 통하여 쉽게 알 수 있음

ㅇ 발전설비는 단기간에 건설이 불가능한 설비로 짧게는 5년 길게는 20년 정도의 기간이 필요하므로 장기 전력수요 예측 및 발전설비 건설계획이 중요함

ㅇ 산업통상자원부는 연도별 전력수급동향을 참고하여 장기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향후 전력수급 안정에 이바지함


지표해석

■ 최대전력수요 증가율 비교

- '21년 최대전력수요는 91.1GW로, 지난 10년 전 대비 19.1% 증가
(최대전력수요는 경제성장률 및 기온변화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짐)

■ 발전설비용량

- '21년 말 기준 우리나라의 발전설비 규모는 총 134,020MW로 '12년 말 81,806MW 대비 63.8% 증가
* 에너지원별 설비용량은 원자력 17.4%, 석탄27.9%, LNG 30.7%, 신재생 18.5%, 기타 5.5%로 구성
* 기타 : 유류, 양수 등

■ 향후 전망

- 최대전력은 5G 활성화, 전기차 수요, 이상기온, 4차 산업혁명 등으로 인해 미래 수요 불확실성은 증가 전망
- 예비율은 '12년 이래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안정적 전력수급을 유지하고 있고, 향후 신규건설 및 신재생전원 확대 등으로 증가 전망


관련용어

공급능력 : 일정 시점에서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최대발전가능 출력(공급능력=총설비용량-감발전력) - 감발전력 : 고장, 정비 등으로 발전이 불가능한 설비규모

공급예비력 : 일정시점에서 최대전력수요에 대한 전력공급 능력의 여유분(공급능력-최대전력수요)

공급예비율 : 최대전력수요에 대한 공급능력의 여유분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산업정책과, 044-203-3891

최근 갱신일 :   2025-02-27(입력예정일 : 2025-12-31)

자료 출처 :   한국전력통계(연간), 해외전력통계(연간), 하계냉방부하특성분석(연간)

공표 주기 :   1년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