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노동생산성 지수 3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표개념

생산성은 생산과정에서 투입된 자본, 노동 등 요소투입(Input)과 산출물(Output)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투입요소 한 단위가 산출한 생산량(또는 부가가치)으로 정의됨. 일반적으로 노동생산성은 노동투입량에 대한 산출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물적 노동생산성과 노동투입량에 대한 부가가치의 비율을 나타내는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으로 대별

* 물적 노동생산성지수 = {산출량(산업생산)지수/노동투입량지수(근로자수*근로시간수)}*100
*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지수 = {산출량(불변 국내총생산(GDP))지수/노동투입량지수(근로자수*근로시간수)}*100

■ 의의 및 활용도

물적 노동생산성은 생산과정에 있어서 생산효율의 향상정도, 기술수준의 변화 등 주로 기술적 효율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되며,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은 경제적 효율성, 성과배분, 국제경쟁력 비교 등의 중요한 지표로 이용

■ 수치해석방법

노동생산성이 증가(향상) 되었다는 것은 동일한 투입으로 더 많은 산출물(생산량 또는 부가가치)을 얻거나, 또는 동일한 산출물을 보다 적은 투입으로 얻는 것을 의미

* 생산성지수 기준연도를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변경(2023년)


지표해석

■ 수치증감 및 변동요인 분석(부가가치 기준)

2022년 1분기 전 산업 노동생산성지수는 115.6(2015=100)로 전년동기대비 2.1% 증가

산출량(부가가치)이 전년동기대비 3.4% 증가, 노동투입량이 1.3% 증가한데 기인함

제조업 노동생산성지수는 전년동기대비 4.7% 증가, 서비스업은 1.9% 증가

2022년도 1분기 제조업 노동생산성 지수(부가가치기준)는 125.8(2015=100)로 전년동기대비 4.7% 증가

산출량(부가가치)이 전년동기대비 3.2% 증가, 노동투입량이 1.4% 감소한데 기인함

■ 국제비교

자국기준의 생산성통계로서 국가간 비교는 어려움. 국제비교를 위해서는 동일한 기준으로 노동생산성을 측정해야 함
(「노동생산성 국제비교 참고」http://stat.kpc.or.kr/index)

■ 향후계획

생산성향상을 위해 규제완화, 디지털전환, R&D 연구개발 촉진 등을 통해 전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정책지원 필요


유의사항

노동생산성은 일정기간 생산에 투입된 노동(근로시간, 근로자수)에 대한 산출물의 비율로서, 총체적인 산출물을 단일한 노동투입의 관점에서 환산한 결과이다. 노동생산성의 향상은 노동투입만의 결과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본, 노동, 기술, 경영능력 등 총체적인 요소투입에 의해 나타난 결과이다. 노동생산성은 측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상대요소가격의 변화나 요소간 대체성의 변화에 따른 생산과정의 능률향상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관련용어

물적 노동생산성지수 : 노동투입량에 대한 산출량의 상대적 비율로서, 노동투입 한 단위당 산출량으로 표시된다. 노동생산성은 종업원의 숙련도나 조업도, 또는 생산기술의 변화나 설비의 고도화 등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으며, 생산과정에 있어서 생산효율의 향상정도, 기술수준의 변화 등 주로 기술적 효율성들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이용된다.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지수 : 노동투입에 대한 부가가치의 상대적 비율로서, 노동투입 한 단위당 부가가치로 표시된다.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은 임금결정 및 성과배분 등의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노동투입량지수 : 노동투입량의 측정단위는 人·年(man·year), 人·月(man·month), 人·日(man·day), 人·時(man·hour) 등이 있으며, 한국생산성본부의 분기별 노동생산성 측정에 활용되는 노동투입량(근로자수*근로시간)은 人·時(man·hour), 즉 『근로자수×근로시간』으로 표시된다.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일자리혁신과, 044-203-4223

최근 갱신일 :   2025-03-11(입력예정일 : 2025-04-30)

자료 출처 :   생산성통계 DB

공표 주기 :   4월, 7월, 10월, 12월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32 2023년 2분기 노동생산성 동향.pdf 2023-11-03
31 2022년 1분기 노동생산성 동향.pdf 2022-07-21
30 2021년 4분기 노동생산성 동향.pdf 2022-04-26
29 2021년 3분기 노동생산성 동향.pdf 2022-04-26
28 2021년_2분기_노동생산성_동향.pdf 2021-11-08
27 2021년_2분기_노동생산성_동향.pdf 2021-11-08
26 2021년 1분기 노동생산성 동향.pdf 2021-08-17
25 2020년(4분기) 노동생산성 동향.pdf 2021-08-17
24 2020년 3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21-01-15
23 2020년 2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21-01-15
22 2020년 1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20-09-07
21 2019년(4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20-09-07
20 2019년 3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20-05-01
19 2019년 2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20-05-01
18 2019년 1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20-05-01
17 2018년(4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19-05-13
16 2018년 3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19-01-08
15 18년 2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18-11-05
14 18년 1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18-08-08
13 17년 4분기 노동생산성지수 동향.hwp 2018-06-04
12 17년 3분기 생산성동향 자료.hwp 2018-02-28
11 17년 2분기 노동생산성동향.hwp 2017-11-08
10 17년 1분기 노동생산성동향.hwp 2017-08-18
9 16년 4분기 노동생산성동향.hwp 2017-06-23
8 16년 3분기 노동생산성동향.hwp 2017-06-23
7 16년 2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16-12-16
6 16년 1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16-07-22
5 15년 4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hwp 2016-06-09
4 15년 3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hwp 2016-06-09
3 15년 2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hwp 2016-06-09
2 15년 1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15-08-05
1 14년4분기 노동생산성 동향.hwp 2015-06-23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