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대외채무(외채)란 ""일정시점에 일국의 거주자가 비거주자에 대해 미래특정 시점에 금융원금 또는 이자를 지급해야 하는 확정채무잔액""을 말하며, 반면에 대외채권은 ""일정시점에 일국의 거주자가 비거주자로부터 미래특정시점에 원금 또는 이자를 회수하게 될 확정채권잔액""을 말함
ㅇ 대외채무 및 대외채권 통계는 우리나라의 대외건전성 등 대외지급능력 등을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 통계의 해석
ㅇ 대외채무 및 대외채권 통계는 일정시점을 기준으로 파악되므로 플로우(flow) 개념이 아닌 스톡(stock)개념임 ㅇ 본 통계는 통상 전년말 대비, 전분기 대비 증감으로 파악하고, 정부, 통화당국, 은행, 기타 부문별 증감을 통해 그 의미를 해석하게 됨 ㅇ 대외지급능력을 의미하는 지표로, 통상 외환보유액 등과의 비교를 통해 해석에 활용
□ 통계의 작성
ㅇ 우리나라는 통계의 국제적 정합성 제고를 위해 03.6월말부터 imf 등 국제기구가 마련한 새로운 편제기준에 따라 대외채무및 대외채권 통계를 분기별로 작성하여 발표하고 있음 * 분기별 통계는 두 달 정도 경과후 한국은행에서 발표
지표해석
□ 2022년말 대외채무는 6,645억불로 전년말(6,324억불) 대비 321억불 증가 ㅇ 단기외채(만기 1년 이하)는 1,667억불로 전분기 대비 20억불 증가 ㅇ 장기외채(만기 1년 초과)는 4,978억불로 301억불 증가
유의사항
o 잔액자료이므로 환율이나 금리, 주가 변동으로 인한 가치평가(valuation)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거래누계잔액과 차이가 날 수 있음 o 대외지급능력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 등을 함께 파악할 필요
관련용어
대외채무 : 일정시점 현재 거주자가 비거주자에 대해 미래 특정시점에 원금 또는 이자를 지급해야 하는 확정채무 잔액
대외채권 : 일정시점 현재 거주자가 비거주자로부터 미래 특정시점에 원금 또는 이자를 회수하게 될 확정채권 잔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