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범죄 발생 및 검거는 매년 전국 각급 경찰관서에서 취급한 형사사건의 범죄통계원표(발생통계원표.검거통계원표.피의자통계원표)를 토대로 산출한 통계임
■ 지표의 의의(활용도)
° 경찰청 및 일선관서에서 과거 치안활동의 성과를 평가하고 앞으로의 치안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좀더 수준 높은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산출함
° 학계, 시민단체 등 외부 전문가들에게 관련 학문 연구에 활용되고 일반 시민들에게 치안현황 및 사회안전에 대한 경찰 활동의 평가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지표해석
■ 총 범죄 발생 및 검거 추이
° 2023년 전체범죄 발생건수는 1,520,200건으로, 발생건수는 2019년 이후 대체로 감소하였으나 2022년 이후 점차 증가하는 추세임.
° 주요 범죄유형 중 강력범죄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절도범죄, 마약범죄, 지능범죄는 전년 대비 전체적으로 증가한 반면, 폭력범죄,교통범죄는 감소하였음.
■ 향후 정책방향
° 앞으로도 경찰은 날로 국제화되고 지능화되는 범죄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첨단과학수사역량을 확충하고, 수사전문가를 양성하는 한편, 범죄수사비를 현실화하는 등 지속적으로 수사역량을 강화하고 신종범죄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유의사항
- 발생건수(a) : 한 해 동안 경찰에서 인지한 사건 - 검거건수(b) : 한 해 동안 경찰에서 검거한 사건 - 발생건수 대비 검거건(%) : b/a*100 ※ 발생건수 대비 검거건수는 해당사건을 검거한 해결율이 아닌 당해년도 검거한 건수를 당해년도에 인지한 발생건수로 나눈 지표임
관련용어
발생건수 : 한 해 동안 경찰이 입건하여 통계원표를 승인한 사건수
검거건수 : 한 해 동안 경찰에서 검거한 사건수
발생건수대비검거건수 : 한 해 동안 검거한 사건 수를 동년도의 발생건수로 나눈 것 (검거건수/발생건수)*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