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저출생 현상을 다각적·입체적으로 조망하고, 정부 저출생 정책에 실질적 근거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저출생 통계지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저출생 통계지표 체계는 3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저출생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출산현황 영역, ② 출산을 결정하는 지표들이 포함된 결정요인 영역, ③ 정부의 정책제도 영역으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하위 11개 부문으로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저출생 통계지표 체계는 현재 구축 중입니다. 저출생 통계지표 체계의 각 영역별 주요지표는 2023년 12월부터 공개 중이지만, 최종 지표들을 민간 전문가와 관련 부처 논의를거쳐 2024년 12월에 공개할 예정입니다.
주요지표(안)은 3대 영역(출산현황, 결정요인, 정책제도) 10개 부문(출산력, 가족형성조건, 지출규모 등) 총 23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든 주요지표(안)은 이용자 편의를 위해 설명자료와 그래프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통계 공표 후 수시로 업데이트 됩니다.
영역 | 부문 | 지표 |
---|---|---|
출산 현황 | 출산력 | 출생아수 |
연령별 출산율 | ||
합계출산율 | ||
혼인력 | 혼인건수 | |
연령별 유배우율 | ||
평균초혼연령 | ||
의향 | 결혼에 대한 견해 | |
자녀에 대한 견해 | ||
결정 요인 | 가족형성조건 | 청년층 평균 가구소득 |
청년 고용률 | ||
청년 정규직 근로자 비율 | ||
양육 및 돌봄 | 성별 가사노동시간 | |
성별 육아시간 | ||
가치관 및 인식 | 결혼하지 않는 이유 | |
정책 제도 | 지출규모 | 보육기관에 대한 공적지출 |
학교급별 사교육비 | ||
결혼 및 출산 지원 | 임대주택 공급현황 | |
난임검사 지원 현황 | ||
영유아기 지원 수당 규모 | ||
양육지원 | 보육시설 이용률 | |
공공 보육시설 이용률 | ||
시간지원 | 출생아 부모의 육아휴직 사용률 | |
출산 전후 모의 취업 비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