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분류그룹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최근갱신일 : 2024-12-05 (입력 예정일 : 2025-12-31) 공표주기 : 다년

그래프

~
조회

통계표

~
조회

정의

-사회적 고립도는 조사대상인구 중 '집안일을 부탁하거나',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 둘 중 하나라도 도움을 받을 곳이 없는 사람의 비율임.

해설

사회적 고립도는 사회적 자본의 중요한 축을 구성하고 있는 사회적 관계망이 얼마나 촘촘하며 효율적인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사회적 고립도는 사회적 유대가 얼마나 넓게 퍼져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위기상황에서 인적, 정신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도움 받을 수 있는 곳이 없는 사람의 비율을 보여주는 사회적 고립도는 2023년 33.0%로 2021년 보다 1.1%p 감소하였다. 2013년 32.9%이후 지속적인 감소추세 였다가 코로나19 영향으로 사람과의 만남이 축소되면서 증가했던 사회적 고립도가 한국사회 전체가 코로나19에서 회복하면서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아플 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는 26.0%, ‘힘들 때 이야기할 상대’는 20.2%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사회적 고립도는 여성보다 남성이 더 높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고립도가 증가하여 60세 이상은 40.7%로 19-29세의 24.5%에 비해 16.2%p 높다.

서비스 만족도 조사

지표관련 질문은 [참여마당]-[묻고 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평가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