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분류그룹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최근갱신일 : 2025-03-31 (입력 예정일 : 2026-03-31) 공표주기 : 년

그래프

~
조회

통계표

~
조회

정의

주요 기관과 제도에 대해 신뢰하는 인구의 비율(주요 기관: 중앙정부부처, 국회, 법원, 검찰, 경찰, 지방자치단체, 군대, 노동조합, 시민단체, TV방송사, 신문사, 교육계, 의료계, 대기업, 종교계, 금융기관)

해설

사회의 여러 제도 및 기관들에 대해 국민들이 얼마나 신뢰하는가는 제도 및 기관들이 얼마나 잘 운영되며 또한 국민 전체의 요구나 이해를 잘 대변하는가를 보여주는 지표로,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특히 공적 기관과 제도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가 높을수록 이들 기관 및 제도의 정당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기관신뢰도는 2013년 44.7%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2016년 이후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2024년에 49.6%로 다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에 기관별로 볼 때 대부분 신뢰도가 감소했으며, 특히 의료계의 신뢰도 하락폭이 10.6%p로 가장 크다. '교육계'가 65.2%로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신뢰도가 가장 높고 '의료계' 65.2% '금융기관'도 60.0%로 높게 나타난 반면, '국회'에 대한 신뢰도는 26.0%로 가장 낮은 편이다.

관련용어

주요기관
중앙정부부처, 국회, 법원, 검찰, 경찰, 지방자치단체, 군대, 노동조합, 시민단체, TV방송사, 신문사, 교육계, 의료계, 대기업, 종교계, 금융기관)

서비스 만족도 조사

지표관련 질문은 [참여마당]-[묻고 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평가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