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분류그룹

최근갱신일 : 2024-12-25 (입력 예정일 : 2025-12-31) 공표주기 : 년

그래프

~
조회

통계표

~
조회

정의

노인인구(만 65세 이상)의 상대적 빈곤율임. ‘상대적 빈곤율’은 균등화 소득을 기준으로 한 사회 내에 속한 전체 인구 중 다른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곤한 인구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65세 이상 인구 중에서 균등화 소득이 전체 인구의 빈곤선 아래인 노인인구의 비율임

해설

노인은 고용에서 소외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소득 측면에서 취약집단이 되기 쉽다. 노인빈곤 문제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는 한국 사회가 해결해야 할 중요 과제이다. 노인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시장소득 기준으로 볼 때 2011년 57.0%에서 2023년 55.5%로 다소 낮아졌다.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살펴보면, 같은 기간 동안 등락은 있으나 2011년 46.5%에서 2023년 38.2%로 감소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국제적으로 노인빈곤율이 매우 높은 나라로 알려져 있다. OECD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66세 이상 노인의 처분가능소득 기준 상대적 빈곤율은 대상 국가들 가운데 가장 높게 나타난다.

관련용어

균등화 소득
가구원수가 다른 가구 간의 후생(복지)수준을 비교할 수 있도록 가구소득을 √(가구원수)로 나눈 소득으로, 균등화 소득을 작성하는 방법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통계청에서는 OECD의 최근 작성방법인 가구원수의 제곱근을 적용하여 균등화 소득을 작성함
균등화 시장소득
시장소득을 균등화한 소득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처분가능소득을 균등화한 소득
공적이전소득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각종 법률에 의해 지급하는 사회보장수혜금(공적연금, 보훈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기초생활보장급여, 기초연금(기초노령연금), 장애인연금 등).
사적이전소득
생산활동 없이 생기는 소득을 이전소득이라고 하는데, 이 중 사적이전소득에는 용돈, 생활비, 교육비 등의 목적으로 친척 및 친지, 사회단체로부터 받은 보조금 등이 해당됨.
공적이전지출
세금, 공적연금 기여금, 사회보험료 등
가구간 이전지출
경제적으로 독립한 부모 또는 자녀, 친지에게 보낸 생활보조금, 경조금 등
비영리단체 이전지출
종교기부금, 기타기부금, 직장노조비, 정기적 친목회비 등

연관지표

보조지표 및 국제통계

서비스 만족도 조사

지표관련 질문은 [참여마당]-[묻고 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