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분류그룹

최근갱신일 : 2025-04-16 (입력 예정일 : 2026-01-30) 공표주기 : 년

그래프

~
조회

통계표

~
조회

정의

만 15-29세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상태에 있는 인구의 비율임. 만 15-29세 실업자수를 같은 연령대의 경제활동인구로 나누어 산출함.

해설

청년층(만 15-29세)은 생산가능인구 중 가장 젊은 연령대의 인구집단이다. 경제에 새롭게 진입하는 청년층이 실업상태에 있다는 것은 노동력 활용과 노동시장 통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청년인구의 실업은 장기적으로 유휴인력을 양산하고 노동시장의 포용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청년실업률은 2000년대 들어 7-8%대로 유지되어 왔으나 2014년 9.0%로 높아진 후 2016년과 2017년은 9.8%를 기록하였다. 2024년에는 다시 낮아져 5.9%이다. OECD 자료로 보면 한국의 청년실업률은 2024년 기준 6.4%이며, 이는 OECD 평균 11.1%보다 낮은 수준이다.

관련용어

유휴인력
실업자와 노동시장에 들어오지 못할 특별한 이유없이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는 인구.
실업자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기간에 수입이 있는 일을 하지 않았고, 지난 4주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였으며, 조사대상기간에 일이 주어지면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2000년 이전에는 구직기간 1주 기준, 그 이후부터는 구직기간 4주 기준).
청년실업률
15세에서 29세에 해당하는 청년층의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의 비율로, 재학 중인 학생이나 군인 및 구직단념자 등은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어 청년실업률에 포함되지 않음.

보조지표 및 국제통계

서비스 만족도 조사

지표관련 질문은 [참여마당]-[묻고 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