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분류그룹
기본그룹
그룹명
추가
취소
그룹추가
확인
취소
중요지표 추천
총
5
건
관심지표등록
이미지 인쇄
파일다운로드
URL복사
최근갱신일 : 2024-11-30 (입력 예정일 : 2025-10-31)
공표주기 : 년
가계부채비율(가구처분가능소득 대비)
그래프
통계표
정의
해설
관련용어
관련파일
연관지표
보조지표 및 국제통계
만족도 조사
그래프
그래프명
가구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
기간선택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
종료시점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조회
통계표
통계명
가구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
기간선택
연도
통계표시작시점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
통계표종료시점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조회
정의
가계부채총액의 가구처분가능소득 대비 비율임.
해설
가계부채는 주택자금이나 생활자금 등으로 사용되어 해당 가구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부채 규모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가계와 국가경제 모두에 부담을 주게된다. 가계부채의 증가는 가계의 원리금상환 부담을 높이고 이로 인해 가구의 재무적 위험이 증가하여 정상적인 소비지출의 제약요인이 될 수 있다.
한국 가구의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8년 130.4%에서 2021년 194.3%로 지난 10여년간 꾸준히 높아졌다. 이는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에서 부채원리금 상환에 필요한 지출이 많아졌음을 의미한다. 2023년에는 조금 낮아져 186.5%이다. 2023년 기준 한국은 OECD 주요 국가들 중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편에 속한다. 이탈리아(82.1%), 프랑스(122.3%), 영국(136.5%) 등은 150%를 넘지 않는다.
관련용어
부채원리금상환
부채의 원금과 이자를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행위.
처분가능소득
소득에서 세금이나 사회보장부담금, 비영리단체로 이전, 타가구로 이전 등의 비소비지출을 공제하고 남는 소득. 즉, 가구에서 이전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소비지출 할 수 있는 소득임(가처분소득과 같은 용어).
관련파일
05007 가계부채비율(가구처분가능소득 대비)_202412_수정.xlsx
연관지표
가계신용 동향
보조지표 및 국제통계
국제비교 :
주요국의 가구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년, 1995 ~ 2023)
서비스 만족도 조사
지표관련 질문은 [참여마당]-[묻고 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
를 클릭하여 주세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이름
비밀번호
내용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