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분류그룹
기본그룹
그룹명
추가
취소
그룹추가
확인
취소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화면크기
화면 축소
화면 확대
지표누리
국민 삶의 질 지표
다시 대한민국! 새로운 국민의 나라
소개마당
국민 삶의 질 지표 소개
이용안내
지표 활용
전체지표
지표찾기
최신지표
인기지표
개선지표
악화지표
알림마당
공지사항
정보자료실
삶의 질 측정 포럼
해외사례
참여마당
자주하는 질문
묻고 답하기
마이페이지
내가 본 지표
나의 관심지표
나의 참여내역
검색
검색
검색
검색 닫기
전체메뉴 열기
지표누리
국민 삶의 질 지표
소개마당
국민 삶의 질 지표 소개
이용안내
지표 활용
전체지표
지표찾기
최신지표
인기지표
개선지표
악화지표
알림마당
공지사항
정보자료실
삶의 질 측정 포럼
해외사례
참여마당
자주하는 질문
묻고 답하기
마이페이지
내가 본 지표
나의 관심지표
나의 참여내역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전체메뉴 닫기
홈
영역 선택
주택임대료비율(소득 대비)
지표 선택
1인당 주거면적
주거환경만족도
주택임대료비율(소득 대비)
자가점유가구비율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
통근시간
중요지표 추천
총
2
건
관심지표등록
이미지 인쇄
파일다운로드
URL복사
최근갱신일 : 2025-01-07 (입력 예정일 : 2025-12-31)
공표주기 : 년
주택임대료비율(소득 대비)
그래프
통계표
정의
해설
관련용어
관련파일
만족도 조사
그래프
그래프명
월소득 대비 주택임대료비율
기간선택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
종료시점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조회
통계표
통계명
전국, 수도권 및 광역시도 월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
기간선택
부정기
통계표시작시점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
통계표종료시점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조회
정의
주택임대료의 월소득 대비 비율임. 중위월임대료를 중위월가구소득으로 나누어 산출함.
해설
주택임대료는 가구지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ent to Income Ratio)은 소득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준다. 주택임대료 비율이 높을수록 주거비 부담이 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택임대료 비율이 20%를 넘으면 주거비 부담이 과중하다고 판단한다.
주택임대료 비율은 2023년 15.8%로 2022년보다 0.2%p 감소하였다. 2006년 18.7%에서 2014년 20.3%까지 증가한 이후 감소추세이다가 2019년에 소폭 상승하였다. 주택임대료 비율은 지방보다 수도권이 높아 수도권의 주택임대료 비율은 2008년부터 2014년까지 20%를 넘었다가 최근에야 20% 이하로 떨어졌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광역시도의 경우 2008년과 2010년에 하락한 후 15% 안팎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수도권 거주자의 주거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관련용어
월소득대비임대료(RIR: Rent-to-Income Ratio)
월평균 소득에 대비 임대료의 비율을 의미하며, 무주택자가 주거를 위해 소득에서 부담하는 비율임.
관련파일
07002 주택임대료 비율_202412.xlsx
서비스 만족도 조사
지표관련 질문은 [참여마당]-[묻고 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
를 클릭하여 주세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이름
비밀번호
내용
평가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