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분류그룹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최근갱신일 : 2025-02-11 (입력 예정일 : 2025-12-31) 공표주기 : 년

그래프

~
조회

통계표

~
조회

정의

17개 시·도 연평균 미세먼지(PM2.5) 농도의 인구가중평균값

해설

대기오염은 인체 및 생태계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환경문제이다. 여러 대기오염물질 중에서 국민 건강과 관련해서 가장 많이 주목받고 있는 것이 미세먼지이다. 최근 들어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PM2.5)는 입자크기가 작아서 폐포 깊숙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독성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세먼지는 천식과 같은 호흡기계 질병을 악화시키고 폐기능의 저하를 초래한다.

17개 시·도의 미세먼지(PM2.5) 농도를 인구 가중평균하여 합산한 값은 2023년 19㎍/㎡으로, 2020년에 대폭 감소한 이후로 증가했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2022년 보다 증가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인천,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지역이 높은 편이며, 부산, 강원,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지역이 20㎍/㎡ 미만으로 낮은편이다.

관련용어

대기오염도
전국적인 대기오염 및 기후, 생태계 변화 유발물질의 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설치된 대기오염자동측정망을 통해 상시 측정된 자료를 말함. 아황산가스(SO), 미세먼지(PM10), 오존(O3)의 연평균 오염도로 표시됨. 이 중 아황산가스(SO)는 자극성 냄새를 갖는 무색의 기체로 화석연료 중에 들어있는 황 성분이 탈 때 생성되어 대기 중에 배출되는 것으로 대표적인 대기오염물질임.
미세먼지
미세먼지는 직경에 따라 PM10과 PM2.5 등으로 구분하며, PM10은 1000분의 10mm보다 작은 먼지이며, PM2.5(초미세먼지)는 1000분의 2.5mm보다 작은 먼지로, 머리카락 직경(약 60㎛)dml 1/30~1/20 크기보다 작은 입자이다. 미세먼지는 공기 중 고체 상태와 액체 상태의 입자의 혼합물로 배출되며 화학반응 또는 자연적으로 생성된다. 사업장 연소, 자동차 연료 연소, 생물성 연소 과정 등 특정 배출원으로부터 직접 발생한다. PM2.5의 경우 상당량이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암모니아(NH3), 휘발성 유기화학물(VOCs) 등의 전구물질이 대기 중의 특정 조건에서 반응하여 2차 생성된다.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입자로서 광물 입자(예: 황사), 소금 입자, 생물성 입자(예: 꽃가루, 미생물) 등이 있다.

보조지표 및 국제통계

서비스 만족도 조사

지표관련 질문은 [참여마당]-[묻고 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평가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