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분류그룹

최근갱신일 : 2025-02-27 (입력 예정일 : 2025-11-28) 공표주기 : 년

가구순자산비율(가구처분가능소득 대비)

그래프

~
조회

통계표

~
조회

정의

가구순자산의 가구처분가능소득 대비 비율임. 가구순자산은 전체 가구의 평균 자산에서 평균 부채를 차감한 금액임.

해설

소득은 자산의 크기에 영향을 준다. 소득이 증가하면 저축을 통해 자산도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가구의 소득수준을 감안한 자산축적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가구순자산을 가구소득에 대한 상대적 비율로 나타낼 필요가 있다.

한국 가구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순자산 비율은 2008년 257.6%에서 2023년 412.4%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는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2023년 기준 캐나다(653.9%), 이탈리아(617.7%), 독일(576.0%), 프랑스(558.6%) 등 주요 선진국들의 소득 대비 순자산 비율은 500%를 넘는다. 한국 가구는 소득에 비해 순자산이 적어 재산 축적이 상대적으로 부진하다고 할 수 있다.

관련용어

자산
개인이나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유형, 무형의 재산.
부채
재화나 용역의 차입을 전제로 부담하는 금전 상의 상환 의무.

서비스 만족도 조사

지표관련 질문은 [참여마당]-[묻고 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