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분류그룹

최근갱신일 : 2024-12-27 (입력 예정일 : 2026-01-31) 공표주기 : 년

그래프

~
조회

통계표

~
조회

정의

산재 적용대상 근로자 중 재해근로자의 비율임. 재해근로자에는 사망자, 부상자, 업무상 질병 요양자가 포함됨.

해설

산업재해는 근로자의 근로여건을 보여주는 중요 지표이다. 산업재해의 수준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전체 근로자수 대비 사망근로자수나 재해근로자수로 측정하기도 하고, 총근로시간 대비 근로손실시간으로 측정하기도 한다. 재해근로자의 비율을 나타내는 산업재해율은 1990년 1.76%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7년 0.48%까지 낮아졌다가 조금씩 증가하여 2023년 0.66%이다.

관련용어

산업재해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 1항에서 정의한 산업재해란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함.
산재적용대상근로자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상 근로자는 '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자로, "직업의 종류에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를 지칭.

연관지표

서비스 만족도 조사

지표관련 질문은 [참여마당]-[묻고 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