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설명]
■ 문화콘텐츠산업 현황의 개념
ㅇ 본 지표는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 등 국내문화콘텐츠산업 11개 분야별 총 매출액, 수출액, 고용현황을 나타내는 것임
■ 지표의 의의 및 활용도
ㅇ 문화콘텐츠산업 매출규모는 소비자 시장규모가 포함되지 않은 것이며, 문화콘텐츠산업 성장 척도로 활용 가능함
ㅇ 수출액 수치는 문화콘텐츠의 해외 진출 성장척도로 활용가능하며, 수출액이 클수록 해외진출이 활발하다고 볼 수 있으며, 증감폭이 클수록 성장/부진의 폭도 크다고 할 수 있음
ㅇ 각 문화콘텐츠산업 분야별 고용현황을 통해 문화콘텐츠산업 종사자 증감추이, 1인당 매출액 등 산업별, 연도별 비교가 가능하며 종사자수가 취약한 문화콘텐츠산업분야에 대한 인력보완 자료로 활용가능함
■ 수치해석방법
가. 문화콘텐츠산업 매출
ㅇ 문화콘텐츠산업 영위 사업체가 조사기간 1년간 주된 영업활동(상품판매나 용역제공 등)으로 획득한 수입금액으로, ①창작 및 제작(콘텐츠를 기획.제작하는 사업형태. 판매수입, 온라인서비스매출, 하청제작을 통한 매출, 로열티수입 등 포함), ②제작지원(콘텐츠 제작에 관련된 편집/현상/더빙/녹음/촬영/장비임대 등 일부 공정에만 참여하여 발생한 매출), ③단순복제(출판업에서 인쇄, 기록매체 복제(cd,dvd 등)처럼 단순하게 복제하여 생긴 매출), ④유통/배급(제작과정에 참여하지 않은 콘텐츠를 단순히 배급.유통을 통해 발생한 매출), ⑤기타 매출을 포함한다.
ㅇ 매출 규모가 클수록 문화콘텐츠산업 시장규모가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증감폭이 클수록 성장의 폭도 크다고 할 수 있음
나. 문화콘텐츠산업 수출
ㅇ 국내 문화콘텐츠산업 영위사업체의 무역활동 중 내국물품을 타국에 판매(직접수출), 혹은 한국 국적 해외자회사에 의한 해외 판매활동을 말하며, ①완제품수출(수입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최종공정을 마친 제품을 수출하는 방식), ②license(국내의 상표, 특허, 기술 등의 사용을 허가하며 그 대가를 받는 방식), ③oem수출(주문자의 상표를 부착하여 수출하는 방식), ④기술 및 서비스(국내 기술을 특허료 등 일정한 대가를 받고 외국에 제공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다. 문화콘텐츠산업 고용현황
ㅇ 조사기간(1년) 동안 문화콘텐츠산업 관련 해당사업체에서 노동의 대가로 일정 급여를 받아 생활하는 종사자 수를 나타내며, ①정규직(상용근로자 등 1년 이상 고용되어 일정한 급여를 받는 종사자), ②비정규직(파견직, 파트타임, 교육훈련생 등 1년 미만으로 고용되었거나 일일 수당제로 고용된 종사자) 로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