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해석]
■ 지역별 인구 및 인구밀도 추세
° 인구
- 2011년 이후 서울, 부산, 대구의 인구는 감소추세에 있음.
이는 해당지역의 자연증가(=출생아 - 사망자)보다 인구이동에 의한 인구유출이 더 많기 때문임.
- 2021년 수도권의 인구는 전국 인구의 50.4%에 해당하는 2,605만 명으로 수도권으로의 인구집중이 심화되었음.
° 인구밀도
- 2011년 이후 서울, 부산, 대구의 인구밀도는 감소추세이며, 세종, 경기, 충북, 충남, 제주 등의 인구밀도는 증가추세임.
- 수도권으로의 지속적인 인구유입으로 수도권의 인구밀도는 증가추세이며, 2011년 대비 2021년 인구밀도는 107명/㎢ 증가함.
- 2021년 시도별 인구밀도를 보면 서울(15,699명/㎢), 부산(4,320명/㎢) 등은 높고, 강원(90명/㎢), 경북(139명/㎢) 등은 낮음
■ 세계 주요국가 인구밀도
° 2020년 우리나라의 인구밀도는 516명으로 세계 25위 수준임.
세계 주요 국가의 인구밀도
국가명
|
인구밀도(명/㎢)
|
국가명
|
인구밀도(명/㎢)
|
한국
|
515
|
이탈리아
|
206
|
인도
|
464
|
중국
|
153
|
일본
|
348
|
프랑스
|
119
|
영국
|
281
|
미국
|
36
|
독일
|
240
|
|
|
출처: UN,「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Revision」, 2019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전국편 : 2020-2070, 2022년
주) 한국은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기준임
|
■ 향후 전망 및 정책방향
° 인구 전망(만 명)
시도
|
2020년
|
2030년
|
2040년
|
2050년
|
전국
|
5,184
|
5,120
|
5,019
|
4,736
|
서울
|
962
|
895
|
854
|
792
|
부산
|
336
|
308
|
283
|
251
|
대구
|
241
|
220
|
202
|
181
|
인천
|
295
|
296
|
295
|
281
|
광주
|
148
|
140
|
132
|
121
|
대전
|
149
|
140
|
134
|
125
|
울산
|
114
|
104
|
95
|
84
|
세종
|
35
|
50
|
58
|
63
|
경기
|
1,345
|
1,442
|
1,479
|
1,435
|
강원
|
152
|
153
|
154
|
148
|
충북
|
163
|
165
|
167
|
160
|
충남
|
218
|
223
|
225
|
219
|
전북
|
181
|
169
|
160
|
149
|
전남
|
179
|
170
|
163
|
152
|
경북
|
265
|
255
|
244
|
226
|
경남
|
334
|
319
|
302
|
277
|
제주
|
67
|
71
|
72
|
70
|
출처: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시도편): 2020~2050, 2022년
°
인구밀도 : 인구추세가 맞다는 가정 하에 인천, 세종, 경기, 제주의 인구밀도가 증가하며, 나머지 시도는 유사하거나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