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지표개념
○ 건강기능식품생산실적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제10조제2항, 같은법 시행규칙 제13조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제조업체로부터 해당년도 익년 1개월 이내에 보고되는 자료임
■ 의의 및 활용도
○ 건강기능식품 산업현황을 나타내는 통계로 생산 활동 실태 및 연도별 변화를 파악하여 건강기능식품 정책수립 및 산업분석 기초자료로 활용함
■ 수치해석방법
○ 건강기능식품 산업현황은 건강기능식품제조업자가 생산실적을 보고한 자료를 활용함
○ 매출액 전년대비 증가율은 전년도 매출액 수치와 비교하여 증가 또는 감소한 수치를 백분율로 표시함
○ 건강기능식품산업현황은 국내판매액(천원), 수출액(천원, $)으로 나누어 보고됨
○ 코로나19 및 국민소득 수준 향상 등으로 삶의 질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 '16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 12%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함
※ 매출실적(억원): 21,260('16)→22,374('17)→25,221('18) →29,508('19)→33,254('20)
○ 건강기능식품 품목별로는 홍삼, 개별인정형,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 및 무기질, EPA 및 DHA 함유 유지 순으로 많이 생산되었으며, 이 중 홍삼제품이 전체의 26.4%를 점유하고 있어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등 우리 국민들은 건강기능식품으로 홍삼제품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홍삼제품 생산액 : ('16) 5,838억원 → ('17) 5,261억원 → ('18) 6,765억원 → ('19) 5,881억원→ ('20) 5,988억원
※ eicosapentaenoic acid(EPA) 는 2중 결합이 5개, docosahexaenoic acid(DHA)는 2중 결합이 6개인 고도불포화지방산임
■ 국제비교
○ 2019년 세계 보충제(Supplement) 시장규모는 약 1,425억 달러로, 미국이 34.2%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14.8%, 서유럽 12.5% 순임
○ 한국은 대만, 인도네시아 등과 함께 '기타 아시아'에 속하여 2019 보충제 시장 점유율 11.1%를 기록함
■ 향후 전망 또는 향후 계획
○ 코로나19 영향 및 소득 증가에 따른 건강중시형 소비 증가로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꾸준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며, 앞으로 건강기능식품 산업 발전을 위해 기능성 평가 체계 개선, 기능성 원료 개발 기술 지원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임
번호 | 제목 | 등록일 |
---|---|---|
6 |
![]() |
2021-09-01 |
5 |
![]() |
2020-09-18 |
4 |
![]() |
2019-09-25 |
3 |
![]() |
2018-09-28 |
2 |
![]() |
2017-09-25 |
1 |
![]() |
2017-04-27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