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환경부「대기환경연보」
출처 :
환경부「대기환경연보」
출처 :
환경부「대기환경연보」
출처 :
환경부 「대기환경연보」
[지표설명]
■ 지표의 개념
ㅇ 대기환경기준물질
- 환경정책기본법 제10조에 규정된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오존 및 납
ㅇ 대기오염도란 전국적인 대기오염을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부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설치된 대기오염자동측정망을 통해 상시측정된 자료
■ 의의 및 활용도
ㅇ 대기오염도를 분석하여 대기보전 정책수립에 활용
■ 수치해석방법
ㅇ 단위 : ppm(백만분율, 1/106)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오존
㎍/㎥ - 미세먼지, 납
- 용량(부피) 개념 : ㎎/㎥
- 중량(무게) 개념 : ㎎/㎏
[지표해석]
■ 항목별 대기오염도 변화 추이분석
ㅇ 아황산가스(SO2)
- '89년부터 최근까지 SO2의 오염도는 꾸준희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황함유 기준제도('81년), 고체연료사용 금지제도('85년), 청정연료사용 의무화제도('88년) 등 아황산가스 저감을 위한 정부정책의 추진결과로 판단된다.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발간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자료에서도 SO2 배출량은 매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년 오염도는 전년과 동일한 0.003ppm의 농도를 보였다.
ㅇ 이산화질소(NO2)
- NO2의 연간오염도 변화를 살펴보면 90년대 초반에는 농도가 증가하였으나, 이후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고 있었으나, '17년부터 꾸준히 감소를 보이고 있다. '20년 오염도는 0.016ppm으로 전년 대비 감소하였다.
ㅇ 미세먼지(PM-10)
- PM-10 오염도는 '95년 측정을 시작한 후로 조금씩 감소하다가 '99년을 기점으로 '02년까지 증가하였지만, 전체적으로는 감소를 보이고 있으며 '20년 오염도는 33㎍/㎥로 전년 대비 8㎍/㎥ 감소한 농도를 보였다.
ㅇ 미세먼지(PM-2.5)
- PM-2.5 오염도는 '15년부터 측정을 시작하였다, '20년 오염도는 19㎍/㎥로 전년대비 4㎍/㎥ 감소한 농도를 보였다.
■ 국제비교
ㅇ'20년도 서울 미세먼지(PM-10)는 35㎍/㎥로 선진국 주요도시보다 높은 수준임
ㅇ'20년도 서울 미세먼지(PM-2.5)는 19㎍/㎥로 선진국 주요도시보다 높은 수준임
ㅇ'20년도 서울 이산화질소의 농도는 0.024ppm으로 외국의 주요 도시에 비해 높은 수준임
|
런던 |
파리 |
LA |
서울 |
---|---|---|---|---|
미세먼지(PM-10)(㎍/㎥)
|
18 |
20 |
29 |
42 |
미세먼지(PM-2.5)(㎍/㎥)
|
11 |
13 |
13.4 |
25 |
이산화질소(ppm)
|
0.017 |
0.017 |
0.023 |
0.028 |
■ 향후 전망 또는 향후 계획
ㅇ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미세먼지의 오염도는 감소 추세에 있으나, 오존은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등의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2차 오염물질이며, 기상의 변화(일사량, 기온, 풍속, 대기안정도)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증가 추세임
ㅇ 미세먼지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지속적으로 추진중에 있으며 권역별 대기환경관리기본계획을 바탕으로 권역별 맞춤형 대기오염관리를 추진하고 있음.
- 배출총량제 전국확대, 사업장 점검 및 단속 강화, 노후경유차 감축강화 및 저공해차 보급확대, 선박 및 항만 관리기준 강화, 노후건설기계 관리강화, 석탄발전 미세먼지 저감, 친환경에너지 전환, 축산 환경 관리 강화, 저녹스 보일러 보급 확대를 추진 중
번호 | 제목 | 등록일 |
---|---|---|
3 |
![]() |
2018-01-08 |
2 |
![]() |
2017-01-23 |
1 |
![]() |
2016-08-19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