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전국수질평가보고서」
출처 :
「전국수질평가보고서」
[지표설명]
■ 수질현황의 개념
ㅇ 주요 4대강(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대표지점의 매주 수질측정치(BOD, COD)의 연평균 값임
■ 지표의 활용
ㅇ 수질측정결과는 수질오염 원인분석 및 수질개선대책의 수립·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수치해석방법
ㅇ BOD 1㎎/L 이하인 경우 수질등급은 "매우좋음"으로 용존산소가 풍부하고, 오염물질이 없는 청정상태의 생태계로 간단한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으며,
ㅇ BOD 2㎎/L 이하인 경우 수질등급은 "좋음"으로 용존산소가 많은 편이며,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에 근접한 생태계로 볼 수 있으며,
ㅇ BOD 3㎎/L 이하인 경우 수질등급은 "약간좋음"으로 약간의 오염물질은 있으나, 용존산소가 많은 상태의 다소 좋은 생태계로 일반적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 또는 수영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함
[지표해석]
■ 주요 4대강 대표지점의 수질변화 추이
ㅇ 2017년 BOD는 낙동강 전년 수준 유지, 한강, 금강 및 영산강은 소폭 하락
ㅇ 4대강 수계 물관리종합대책('95~'05), 4대강 물환경관리기본계획(1차, '06~'15, 2차 '16~25)의 추진 등 지속적인 수질개선 노력
ㅇ 최근 10년간 4대강 주요 상수원의 수질변화를 살펴보면,
- 수도권 상수원인 팔당의 BOD는 '05년부터 1.1~1.3㎎/L수준 유지
- 상류지역에 대도시, 산업단지 등 오염원이 산재한 낙동강 하류에 위치한 물금지점은 상류지역의 지속적인 수질개선대책 추진으로 BOD가 '05년 2.6㎎/L에서 '17년에는 2.0㎎/L로 다소 개선
- 금강수계 대청지점은 목표기준인 "매우좋음" 등급인 BOD 1.0㎎/L를 평균적으로 유지
- 4대강 주요 상수원 중 수질오염도가 가장 낮은 주암호의 수질은 목표기준인 BOD 1.0㎎/L 이하를 유지
■ 역점 추진사항
ㅇ 안전한 물이용을 위한 맞춤형 수질관리체계 구축
- 상수원, 물놀이 지역 등 전국의 주요 물이용 지점에 대한 용수목적별 수질관리체계 구축으로 물이용 측면에서의 안전성 증대
- 조류경보 등 수질오염경보제를 확대 시행하고 공공처리시설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상시 감시
- 공공수역 위해성 조사평가를 체계화하고 산업폐수로부터 배출되는 유해물질 관리 강화
■ 향후 정책방향
ㅇ '제2차 물환경관리 기본계획'('16∼'25)의 추진일정에 따라 연차별 추진
ㅇ 비전 : 방방곡곡 건강한 물이 있어 모두가 행복한 세상
ㅇ 핵심전략 : 1.건강한 물순환 체계 확립, 2.유역통합관리로 깨끗한 물 확보, 3.수생태계 건강성 제고로 생태계서비스 증진, 4.안전한 물환경 기반 조성, 5.물환경의 경제·문화적 가치 창출
번호 | 제목 | 등록일 |
---|---|---|
8 |
![]() |
2017-01-20 |
7 |
![]() |
2016-08-16 |
6 |
![]() |
2009-01-05 |
5 |
![]() |
2009-01-05 |
4 |
![]() |
2009-01-05 |
3 |
![]() |
2009-01-05 |
2 |
![]() |
2009-01-05 |
1 |
![]() |
2009-01-05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