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2008년 이전:보건복지부 영아모성사망조사(국가승인통계 제11733호), 2009년 이후:사망원인통계조사(국가승인통계 제101054호)
주석 :
* 모성사망비(출생아 10만명당) : (모성사망자 수/출생아수)*100,000
* 모성사망률(가임기여성 10만명당) : (모성사망자 수/ 15~49세 가임기 여성수) * 100,000
* 통계청으로 통합된 이후 첫 조사 (2012년 실시, 2009~2011년 대상) 이후 매년 작성
출처 :
2008년 이전:보건복지부 영아모성사망조사(국가승인통계 제11733호), 2009년 이후:사망원인통계조사(국가승인통계 제101054호)
주석 :
* 영아사망률 : (당해연도 0세 사망아수/당해연도 연간출생아수)*1,000
* 통계청으로 통합된 이후 첫 조사 (2012년 실시, 2009~2011년 대상) 이후 매년 작성
출처 :
2008년 이전:보건복지부 영아모성사망조사(국가승인통계 제11733호), 2009년 이후:사망원인통계조사(국가승인통계 제101054호)
주석 :
* 모성사망비(출생아 10만명당) : (모성사망자 수/출생아수)*100,000
* 모성사망률(가임기여성 10만명당) : (모성사망자 수/ 15~49세 가임기 여성수) * 100,000
* 통계청으로 통합된 이후 첫 조사 (2012년 실시, 2009~2011년 대상) 이후 매년 작성
국가통계포털(KOSIS)
출처 :
2008년 이전:보건복지부 영아모성사망조사(국가승인통계 제11733호), 2009년 이후:사망원인통계조사(국가승인통계 제101054호)
주석 :
* 영아사망률 : (당해연도 0세 사망아수/당해연도 연간출생아수)*1,000
* 통계청으로 통합된 이후 첫 조사 (2012년 실시, 2009~2011년 대상) 이후 매년 작성
국가통계포털(KOSIS)
■ 지표개념
○ 모성사망비 : 모성사망 측정을 위해 개발된 지표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표로 출생아 10만명당 모성사망의 수로 표시
○ 영아사망률 : 출생 후 1년 이내(365일 미만) 사망자수를 해당 연도의 출생아수로 나눈 수치를 1,000분비로 나타낸 것으로
국제적으로 국민 보건 수준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됨
- 생존기간별 구분 : 신생아(0~27일), 신생아 후기(28~364일), 영아(0~364일)
■ 의의 및 활용도
○ 우리나라의 영아사망, 모성사망 및 사산의 수준과 특성 및 추세를 파악하여 모자보건정책의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 수치해석방법
○ 모성사망률 : 15~49세 가임기 여성수에 대한 모성사망수로 출산과 관계없이 가임기 여성의 모성사망 위험지표
■ 수치증감 및 변동요인 분석
○ 모성사망비 추세
- 2019년 모성사망비는 같은 해 출생아 십만명 당 9.9명으로 전년대비 12.5% 감소
(2013년 : 11.5명, 2014년 : 11.0명, 2015년 : 8.7명, 2016년 : 8.4명, 2017년 : 7.8명, 2018년 11.3명, 2019년 9.9명)
- OECD 회원국의 모성사망비 평균은 8.9명으로 한국(2019년 기준, 9.9명)은 높은 수준
(OECD 평균은 각 회원국의 이용 가능한 최근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 2020년 11월 추출)
○ 영아사망률 추세
- 2019년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천명당 2.7명으로 전년대비 0.1명 감소
- OECD 회원국의 영아사망률 평균은 4.1명으로 한국(2019년 기준, 2.7명)은 낮은 수준
(OECD 평균은 각 회원국의 이용 가능한 최근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 2020년 11월 추출)
번호 | 제목 | 등록일 |
---|---|---|
2 |
![]() |
2022-02-14 |
1 |
![]() |
2022-02-14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