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해양경찰청(내부행정자료)
주석 :
※ 기 타 : 예인선, 유해 액체물질 운반선, 일반 부선, 육상기인 등
출처 :
해양경찰청(내부행정자료)
주석 :
※ 기 타 : 예인선, 유해 액체물질 운반선, 일반 부선, 육상기인 등
[지표설명]
■ 지표 개념
ㅇ 연간 발생된 기름 1ℓ 이상 유출사고와 선저폐수, 유해물질 10ℓ , 폐기물 1㎏이상의 해양 유출사고에 관한 자료
- 각 연도별 선박의 종류(배출원)에 따른 사고 건수와 유출량 표시
· 배출원 : 화물선, 유조선, 어선, 기타선, 육상, 기타 등
※ 선저폐수 : 선박의 밑바닥에 괸 유성혼합물
■ 지표의 의의 및 활용도
ㅇ 사고위험 선박에 대한 예방대책을 수립시 활용되며, 또한 선박 및 시설종사자에 대한 계도활동의 근거자료로 사용
[지표해석]
■ 해양오염사고 발생 현황(추이)
ㅇ해양오염사고 발생건수는 최근 11년간('11~'20) 연 평균 약 263건 발생, 554㎘가 유출
ㅇ'07년도에는 태풍과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프리트호 해양오염사고의 영향으로 전년도 대비 사고 건수는 345건, 유출량은 15,447.5㎘로 유례없는 증가
ㅇ'08년도에는 고유가로 인한 어선의 출어 포기와 연안어선 감축사업, 태풍 내습 피해 미발생, 해양오염에 대한 국민적 경각심 증가로 인해 사고건수는 전년도에 비해 대폭 감소한 265건, 유출량은 435.9㎘를 기록
ㅇ'08년도 대비 09년도 우리나라 해상 유류물돌량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유조선 선주, 선원들의 해양오염에 대한 안전의식 향상으로 사고건수는 287건으로 전녀대비 8% 증가하였으나, 유출량은 110.8㎘로 74% 감소하였다.
ㅇ 10년도는 전년도 대비 해상유류물동량 및 유조선 출입항 척수는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기상불량 및 중대형 오염사고 증가로 사고건수는 329건으로 15% 증가하였으며 유출량은 601㎘로 대폭 증가하였다.
ㅇ'11년도는 전년도 대비 사고건수 13%(329건 → 287건), 유출량 39%(601㎘→369㎘) 감소
'12년도는 '11년도 대비 사고건수 12%(287건 → 253건)감소, 유출량은 14%(369㎘l → 419㎘) 증가
'13년도는 '12년도 대비 사고건수 1건 감소(253건 → 252건), 유출량은 52%(419㎘ → 635㎘) 증가
'14년도는 '13년도 대비 사고건수는 15%감소(252건 → 215건), 유출량은 215%(635㎘ → 2,001㎘) 증가
ㅇ'15년도는 '14년도 대비 사고건수는 16% 증가(215건 → 250건), 유출량은 77%(2001㎘ → 464㎘) 감소
ㅇ'16년도는 '15년도 대비 사고건수는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250→ 264건), 유출량은 40%(464㎘ → 278㎘) 감소
※ 사고건수 증가는 어선, 예인선 등 소형선박의 사고건수 증가가 주요 요인
ㅇ'17년도는 '16년도 대비 사고건수는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소폭 증가(264건→ 271건), 유출량은 17%(278kl → 230kl) 감소
※ 유출량은 소량 사고로 인해 약 17% 감소
→ 어선, 기타선(예인선 등)에 의한 중소형 오염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사고건수는 소폭 증가
→ 유류이적, 파공부 봉쇄 등과 같은 유출방지를 위한 긴급 대응과 현장 중심의 예방활동 및 사고대응으로 유출량은 감소 추세
ㅇ'18년도는 '17년 대비 사고건수는 17건(6%), 유출량은 21㎘(9%)가 증가한 해양오염사고 288건, 유출량 250.9㎘가 발생
→ 어선, 화물선의 사고 건수 및 유출량 증가, 기타선(예인선 등) 유출량 증가
→ (장기적 분석) 최근 5년간 연 평균 258건, 유출량 645kl 유출, 유조선 이중선체 의무화, VTS 관제 및 해양종사자의 안전의식
강화 등으로 국가 재난적 대형 해양오염사고 미 발생으로 유출량은 감소 추세
ㅇ '19년는 '18년 대비 사고건수는 8건(3%) 증가, 유출량은 103㎘(41%)가 감소한 해양오염사고 296건, 유출량 147.9㎘가 발생
→ 어선과 기타선의 사고 사고 건수는 증가, 유출량은 전체적으로 대폭 감소
→ 사고 발생시 선제적 선박내 적재된 기름을 타선박 등으로 옮기고 에어벤트, 파공부위를 봉쇄하는 사전 유출방지 조치로 인해
유출량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
ㅇ '20년도는 254건, 유출량 770.3㎘ 발생하였으며, 전년 대비 사고건수는 14%(42건) 감소, 유출량은 5배(622㎘) 증가
→ 해양사고로 인한 사고 건수 및 유출량이 가장 많이 발생(‘18년 84건(29.2%)→’19년 93건(31.4%)→‘20년 89건(35.0%))
→ 해상교통시설 현대화 및 부두시설 정비 등 해상공사 증가로 작업선박의 해양사고 발생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
ㅇ '21년도 247건, 312.8㎘ 유출 발생, 전년대비 사고건수 2.8%(7건), 유출량 59.4%(457.5㎘) 감소
→ 해운경기 활성화로 화물선˙유조선 오염사고 증가(46→65건, 41%)
→ 기상악화 등 해양사고 발생 우려가 있는 취약요소 현장관리 강화 및 배출방지조치 적극 이행으로 대규모 오염사고 차단에 기여
ㅇ 100㎘ 이상 유출사고 현황
구 분 |
’97 |
’01 |
’03 |
’04 |
'07 |
’08 |
’10 |
’11 |
’12 |
’13 |
’14 |
’15 |
'20 |
---|---|---|---|---|---|---|---|---|---|---|---|---|---|
건 수 |
2 |
1 |
2 |
1 |
3 |
1 |
1 |
1 |
1 |
2 |
5 |
2 |
1 |
유출량(㎘) |
2,419 |
328 |
983 |
1,200 |
13,629 |
253 |
132 |
100 |
115 |
247 |
1,836 |
316 |
629 |
- 97년 유조선에 의한 기름유출사고 현황(일자, 선명, 장소, 유출량)
( 97.4.3, 제3오성호, 통영, 1,699 ㎘), (97.11.25, 제3동진호, 포항, 720㎘)
- 07년 100㎘이상 기름유출사고 현황(일자, 선명, 장소, 유출량, 종류)
( 07.12.7, 허베이 스프리트, 태안, 12,547 ㎘, 원유), (07.12.7, 포센져, 울산, 954.6㎘, 메탄올), (07.12.25, 이스턴 브라이트, 127.2 ㎘, 벙커C유)
- 08년 100㎘이상 기름유출사고 현황(일자, 선명, 장소, 유출량, 종류)
( 08.3.11, 흥양호, 여수, 252.9 ㎘, 경유)
- 10년 100㎘이상 기름유출사고 현황(일자, 선명, 장소, 유출량, 종류)
( 10.3.26, 흥양호, 백령도 남서방, 132 ㎘, 경유)
- 12년 100㎘이상 기름유출사고 현황(일자, 선명, 장소, 유출량, 종류)
( 12.1.19, 글로벌레거시호, 포항 영일만 용한리, 115 ㎘, 선저폐수 등)
- 13년 100㎘이상 기름유출사고 현황(일자, 선명, 장소, 유출량, 종류)
( 13.4.15, 티안윤호, 동해 주문진 동방, 118 ㎘, 벙커C유 등), (13.10.15, 포항 영일만항, 129 ㎘, 벙커C유 등)
- 14년 100㎘이상 기름유출사고 현황(일자, 선명, 장소, 유출량, 종류)
( 14.1.31, GS칼텍스(우이산호 충돌사고), 여수 GS칼텍스 원유 2부두, 899 ㎘, 원유 등), ( 14.2.15, 캡틴반젤리스엘호, 부산 남회항 묘박지, 237 ㎘, 벙커C유), ( 14.4.4, 그랜드포춘호, 여수 거문도 남동방 33해리, 151㎘, 벙커C유 등), ( 14.4.16, 세월호, 진도군 병풍도 북동방 2해리, 214㎘, 벙커C유 등), ( 14.12.28, 현대브릿지호, 부산 태종대 남서방 7해리, 335 ㎘, 벙커C유)
- 15년 : 한양에이스호(198㎘, 혼산) ※ '19.5월 이스턴엠버호 침몰선 잔존유 육상 이적으로 최종 유출량 93.4㎘로 산정
- 20년 : 리스폰더호(629톤, B-C유 등)번호 | 제목 | 등록일 |
---|---|---|
첨부된 정책자료가 없습니다.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