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각 연도 OECD「Education at a Glance」
주석 :
조사대상 : 25-64세 연령 인구
출처 :
각 연도 OECD「Education at a Glance」
주석 :
조사대상 : 25-64세 연령 인구
출처 :
각 연도 OECD「Education at a Glance」
주석 :
조사대상 : 25-64세 연령 인구
■ 학력별 인구분포 개념 및 의의
° 학력별 인구 분포
- 25-64세 성인인구 중 학력(중졸이하/고졸/고등교육이상으로 구분)별 인구 비율로 고등교육 비율이 높을수록 인구 중 고등교육 이수자가 많은 것을 의미함.
☞ 전체 인구의 교육수준을 알 수 있는 지표이며, 인적자원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됨.
* 취업자 : 자료를 조사한 시점의 일주일동안
가. 보수(임금근로자)나 수익(자영업자 및 무급가족종사자)을 위해 최소 1시간 이상 일을 한 사람.
나. 직장이 있지만 일시적으로(부상, 질병, 휴일, 파업 및 직장폐쇄, 교육훈련으로 인한 휴가,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등) 일을 하고 있지 않은 사람.
(*출처 : 2021 OECD 교육지표)
■ 학력별 인구분포 추이
° 우리나라 국민의 학력수준은 25-64세 성인인구 중 고졸이상 학력자는 89%, 고등교육 이수자는 51%를 차지(‘20년)
- 고졸이상 학력자 추이: ('95) 60% → ('00) 68% → ('05) 76% → ('10) 80% → ('12) 82% → ('15) 85% → ('16) 87% → ('17) 88% → ('18) 88%→ ('19) 89%→ ('20) 89%
- 고등교육 이수자 추이: ('95) 18% → ('00) 24% → ('05) 32% → ('10) 40% → ('12) 41% → ('15) 45% → ('16) 47% → ('17) 48% → ('18) 49% → ('19) 50%→ ('20) 51%
° 이수율이 증가하는 것은 사람들이 교육에 더 오래 머무르고 있다는 것과 정책적 노력으로 중도탈락이나 교육에서의 형평성 결여와 같은 문제들을 다루는 데 성공적이었음을 시사함.
■ 학력별 인적자원 활용도
【교육수준별 성인인구(25세~64세)의 고용률(2020)】
구분 |
중학교 이하 |
고등학교 |
고등교육 이상 |
(1) |
(2) |
(3) |
|
OECD 평균 |
58 |
74 |
84 |
한국 |
61 |
70 |
77 |
캐나다 |
54 |
67 |
79 |
핀란드 |
54 |
74 |
87 |
프랑스 |
53 |
72 |
85 |
독일 |
63 |
81 |
89 |
이탈리아 |
52 |
70 |
81 |
일본 |
x(2)* |
81 |
86 |
영국 |
64 |
80 |
86 |
미국 |
55 |
69 |
82 |
주 1) 고용률=(취업자/25-64세 인구)*100
주 2) 일본의 '중학교 이하' 고용률은 '고등학교' 자료에 포함됨
주 3) 일본의 고등교육은 후기중등교육 또는 중등후 비고등교육을 포함함.(성인의 5%미만이 해당)
주 4) 영국의 후기중등교육은 중급 후기중등교육 이수로 분류될 수 있는 충분한 양과 표준 프로그램 이수를 포함함. (25-64세 성인의 12%가 해당)
번호 | 제목 | 등록일 |
---|---|---|
6 |
![]() |
2021-10-28 |
5 |
![]() |
2020-03-11 |
4 |
![]() |
2017-01-25 |
3 |
![]() |
2017-01-25 |
2 |
![]() |
2016-07-19 |
1 |
![]() |
2013-12-16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