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기상청 기상연보
[지표설명]
■ 일조시간 개념
° 일조시간 : 태양 광선이 구름이나 안개로 가려지지 않고 땅 위를 비치는 것을 말하며, 실제로 비친 시간을 의미함
cf. 일조율 : 어떤 날의 실제의 일조시간과 가조시간과의 비
가조시간: 산이나 언덕 등의 장애물이 없다고 가정하여, 어느 지점에 햇빛이 비칠 수 있는 시간(계산 가능)
■ 일조시간 측정
° 전국평균은 1973년 이후 기상청 관측지점 수가 급증하여 안정적으로 연속관측을 수행한 20개 지점의 평균값 사용
° 계절구분은 봄(3-5월), 여름(6-8월), 가을(9-11월), 겨울(당해년12-다음해1,2월)로 하였음
° 일조시간은 기간동안의 일조시간 합계로 계산
■ 의의 및 활용도
° 이 통계는 전국평균 데이터이며, 전국평균값은 전문자료로 사용하기보다는 참고용으로 사용하는 값임
[지표해석]
■ 2020년 일조시간 현황 및 연별·계절별 전국 일조시간 변화 추이
○ 연 일조시간
- 2020 전국평균 연 합계 일조시간은 2368.6hr로 최근 10년(2011~2020년) 대비 100.1%, 평년(1981~2010년) 대비 108.6%였다.
- 이는 1973년 이래(48년간) 최고 9위에 해당하는 값이다.
○ 계절 일조시간
- 2020년 계절별 전국평균 일조시간은 여름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서 평년 대비 많았다.
- 봄, 여름, 가을, 겨울은 각각 1973년 이래 최고 3위, 최고 29위, 최고 14위, 최고 4위를 기록했다.
< 표 1 - 연별·계절별 일조시간(hr) >
기간 |
2020년 |
최근10년 |
최근10년대비(%) |
평년 |
평년대비(%) |
연 |
2368.6 |
2365.7 |
100.1 |
2185.3 |
108.6 |
봄 |
739.6 |
699.9 |
105.7 |
629.5 |
117.5 |
여름 |
494.9 |
555.1 |
89.2 |
503.0 |
98.3 |
가을 |
584.2 |
567.9 |
102.9 |
538.5 |
108.6 |
겨울 |
593.4 |
559.6 |
106.0 |
514.7 |
115.2 |
< 표 2 - 연별·계절별 일조시간 최고 5순위 >
순위 |
봄 |
여름 |
가을 |
겨울 |
연 합계 |
|||||
년도 |
값 |
년도 |
값 |
년도 |
값 |
년도 |
값 |
년도 |
값 |
|
1 | 2017 | 760.4 | 2018 | 692.4 | 2017 | 607.3 | 1983 | 606.5 | 2017 | 2578.2 |
2 | 1978 | 748.9 | 1994 | 680.7 | 2014 | 605.9 | 2017 | 605.4 | 2018 | 2498.4 |
3 | 2020 | 739.6 | 1973 | 660.1 | 2013 | 604.4 | 2018 | 595.6 | 2019 | 2485.3 |
4 | 2015 | 738.1 | 2019 | 631.8 | 1991 | 603.1 | 2020 | 593.4 | 1994 | 2426.8 |
5 | 2019 | 726.8 | 1982 | 621.9 | 1994 | 602.6 | 1985 | 582.8 | 2013 | 2420.2 |
번호 | 제목 | 등록일 |
---|---|---|
첨부된 정책자료가 없습니다.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