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국토교통부
주석 :
기존 주택보급률 보완을 위하여 '08년부터 신주택보급률(주택수에 다가구 구분거처 반영, 가구수에 1인가구 포함)로 변경, '15년부터 행정자료(주민등록부, 건축물 대장 등)를 활용한 등록센서스 방식 적용
출처 :
국토교통부 * 통계공표시기 : 작성기준년도 익년 12월
주석 :
기존 주택보급률 보완을 위하여 '08년부터 신주택보급률(주택수에 다가구 구분거처 반영, 가구수에 1인가구 포함)로 변경, '15년부터 행정자료(주민등록부, 건축물 대장 등)를 활용한 등록센서스 방식 적용
국가통계포털(KOSIS)
[지표설명]
■ 주택보급률 개념
○ 주택보급률은 주택의 수를 주택 수요자인 가구 수로 나눈 비율로, 주택이 보급된 정도를 파악하는 지표로서 주택수/가구수로 산출(新/舊주택보급률별 산정 기준에 차이)
■ 주택보급률 의의
° 주택보급률은 특정국가 또는 특정지역에 있어서 주택재고가 그곳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들의 수에 비하여 얼마나
부족한지 또는 여유가 있는지를 총괄적으로 보여주는 양적지표
- 주택재고의 절대부족문제가 심각하여 왔던 우리나라는 주택재고확대라는 주택정책목표의 달성도를 나타내는
주요지료로 활용됨
- 그러나 주택보급률 지표는 주택재고의 배분상태(자가보유율)나 거주상태(주거수준)을 보여 주지 못하는 한계 지님
■ 주택보급률 활용도
° 우리나라의 경우 주택공급확대 정책의 성과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주택정책적 지표로 활용함
- 그러나 주택재고의 절대부족문제가 해결된 선진국에서는 주택보급률을 지속적인 정책지표로 사용하지 않고 분석목적 및 대상에 따라 국지적, 부분적, 간헐적인 주택보급률을 계산하여 활용하고 있음
[지표해석]
■ 주택수 및 주택보급률 추이
ㅇ 지속적인 주택 공급으로 인하여 주택수는 꾸준히 늘어나, '05년에는 15,623천호로 증가하였고 '10년은 17,738천호, '11년 주택수는 18,082천호, '12년 주택수는 18,414천호, `13년 주택수는 18,742천호, `14년 주택수는 19,161천호, `15년 주택수는 19,559천호, '16년 19,877천호, '17년 20,313천호, '18년 20,818천호, '19년 21,310천호 '20년 21,674천호로 증가
ㅇ 또한 일반가구수도 '05년에는 15,887천가구 였던 것이 '10년 17,656천가구, '11년 17,928천가구, '12년 18,209천가구, '13년 18,450천가구, '14년 18,800천가구, '15년 19,111천가구, '16년 19,368천가구, '17년 19,674천가구, '18년 19,979천가구, '19년 20,343천가구, '20년 20,927천가구로 증가
* 시도별 자세한 사항은 국토교통통계누리(https://stat.molit.go.kr) 참조
■ 향후전망
ㅇ '21년 지속적인 주택 공급으로 주택보급률 주택수도 증가 예상
번호 | 제목 | 등록일 |
---|---|---|
11 |
![]() |
2022-03-04 |
10 |
![]() |
2022-03-04 |
9 |
![]() |
2022-03-04 |
8 |
![]() |
2022-03-04 |
7 |
![]() |
2022-03-04 |
6 |
![]() |
2022-03-04 |
5 |
![]() |
2022-03-04 |
4 |
![]() |
2022-03-04 |
3 |
![]() |
2022-03-04 |
2 |
![]() |
2022-03-04 |
1 |
![]() |
2022-03-04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