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환경부(한국수자원공사 자료)
[지표설명]
■ 지표의 개념
평균저수량이란?
- 다목적댐의 각 연평균 저수량(일별 저수량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
평균저수율이란?
- (평균저수량/모든댐 저수용량 합계)*100%
■ 지표의 의의 및 활용도
ㅇ 동 지표는 홍수조절 및 용수공급관리 정책수립의 기초자료임
- 저수량(저수율)은 유입량에 따른 방류량 조절 등 댐 운영의 결과로서,
- 여름철에 집중되는 우리나라 강우특성을 고려해, 홍수기 중 강우로 댐에 유입되는 물을 최대한 저류(유입량>방류량)함으로써 하류 홍수피해를 최소화 하고 내년도 홍수기 전까지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도모할 수 있음
* 유입량 : 댐 유역의 강우 등에 따라 댐으로 들어오는 물의 양
* 방류량 : 홍수조절, 하천수질·생태 유지, 안정적 용수공급 등을 포함한 물의 양
[지표해석]
■ 추이 분석
ㅇ 연도별 댐유역 강수량은 2000년後 큰 폭으로 변동하는 등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예방과 용수확보를 위한 물관리 중요도 증가
* ‘00년後 댐유역 연간 강수량 : 최저 '15년 925mm , 최대 '03년 1,829mm
ㅇ 평균저수량 및 저수율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평균저수량 (백만㎥) |
5,026 |
6,172 |
6,398 |
7,147 |
7,734 |
8,324 |
평균저수율(%) |
42.3 |
47.2 |
45.7 |
52.8 |
62.3 |
67.5 |
* 14~17년 장기가뭄 해소에 따른 저수율 상향
■ 미래예측 및 향후정책방향
ㅇ 자연현상에 따른 저수량 변동 지속으로 홍수조절 및 용수공급 관리에 고충 예상
ㅇ 기존 댐의 최적 운영을 통한 수자원 관리 및 이용 효율성 강화 정책 시행
■ 시사점
ㅇ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가뭄과 홍수의 발생 규모·빈도는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인한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필요
번호 | 제목 | 등록일 |
---|---|---|
1 |
![]() |
2017-08-28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