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통계청「광업제조업동향조사」 및「광업제조업조사」, 관세청「무역통계」
주석 :
1. 생산은 KSIC 기준, 수출입은 MTI CODE 기준
2. 생산은 통계청 발표 수치 기준
4. 1999년부터 생산 및 내수는 종업원수 10인이상 사업체 기준, 1999년 이전은 5인이상 사업체 기준
출처 :
통계청「광업제조업동향조사」 및「광업제조업조사」, 관세청「무역통계」
주석 :
1. 생산은 KSIC 기준, 수출입은 MTI CODE 기준
2. 생산은 통계청 발표 수치 기준
4. 1999년부터 생산 및 내수는 종업원수 10인이상 사업체 기준, 1999년 이전은 5인이상 사업체 기준
국가통계포털(KOSIS)
1. 산업 구조
□ 산업 분류
ㅇ 표준산업분류에 따른 '기타기계 및 장비'는 일반기계산업을 의미하며, 일반목적용기계와 특수목적용기계로 분류되고, 그 밑에 18개 세분류로 구성
* MTI는 산업통상부 정책목적용 특수분류로 4개 소분류와 18개 품목으로 구성
산업분류 상에서의 일반기계 산업구조
< 표준산업분류 상의 일반기계 > < MTI 일반기계 >
□ 표준산업분류 상에서의 기계산업 정의
ㅇ 기계산업을 금속가공제품(C25), 기타 기계 및 장비(일반기계, C29), 전기장비(C28), 정밀기계(C27), 수송기계(C30~31) 5대 업종으로 분류
KOAMI CODE |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
||||
코드 |
업종 |
9차 (2008) |
항목명 |
10차 (2017) |
항목명 |
10000 |
금속제품 |
C25 |
금속가공제품 |
C25 |
금속가공제품 |
20000 |
일반기계 |
C29 |
기타 기계 및 장비 |
C29 |
기타 기계 및 장비 |
30000 |
전기기계 |
C28 |
전기 장비 |
C28 |
전기 장비 |
40000 |
정밀기계 |
C27 |
의료/정밀/광학기기/시계 |
C27 |
의료/정밀/광학기기/시계 |
50000 |
수송기계 |
C30~31 |
자동차-기타운송장비 |
C30~31 |
자동차-기타운송장비 |
□ MTI 기계류(7) 및 일반기계(71,72,75,79) 분류 비교
MTI 코드번호 |
MTI 기계류 전체 |
MTI 일반기계 분류 |
71 |
기초산업기계 |
O 포함 |
72 |
산업기계 |
O 포함 |
73 |
정밀기계 |
X 제외 |
74 |
수송기계 |
X 제외 |
75 |
기계요소공구및금형 |
O 포함 |
79 |
기타기계류 |
O 포함 |
□ MTI 기계류 및 MTI 일반기계 비교
코드 |
기계류전체 1,674억불 |
일반기계 467억불 (27.9%) |
비고 |
71 |
기초산업기계 |
기초산업기계 |
원동기및펌프, 운반하역기계, 공기조절기 및 냉난방기, 사무기기, 광학기기 |
72 |
산업기계 |
산업기계 |
섬유 및 화학기계, 목재광물 및 유리가공기계, 금속공작기계, 식품가공포장기계, 건설광산기계, 압연기용접기 및 주조설비, 제지인쇄기계, 농기계, 기타산업기계 |
73 |
정밀기계 |
- |
시계, 반도체제조용장비, 의료용기기, 평판디스플레이제조용 장비 등 |
74 |
수송기계 |
- |
자동차 및 부품, 이륜차자전거 및 부품, 철도자량및 부품,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선박해양구조물 및 부품, 항공기 및 부품, 우주선 및 부품 |
75 |
기계요소공구및금형 |
기계요소공구및금형 |
기계요소 (볼트너트, 밸브, 베어링 등) 공구(커팅,드릴링,전기드릴,공기압공구 등) 금형(프레스,플라스틱금형,다이캐스팅 등) |
79 |
기타기계류 |
기타기계류 |
기타진공청소기, 금속세탁기 등등 |
2. 산업 특성
□ 일반기계산업은 건설‧공작기계 등 전통 주력산업과 반도체‧LED 장비 등 주력산업 설비를 공급하는 핵심 기반 산업으로 국가 경쟁력의 원천
< 기계산업의 중요성 >
□ 소재‧부품을 가공‧조립하여 제조업·건설업‧농업 활동의 기반이 되는 제품을 생산하는 B2B산업이자, 기술진입장벽이 높은 산업
ㅇ (수요중심산업) 제품별 기본모델이 있으나, 수요자별 작업환경과 기술적 요구조건이 다양하여 특수성을 고려한 설계·제작이 요구
【 전후방 산업 】
전방산업 |
|
기계산업 |
|
후방산업 |
제조업, 건설업, 농업 |
소재산업 (철강, 플라스틱 등) |
ㅇ (기술중심산업) 데이터‧노하우 축적이 기술개발에 중요한 요소로, 기술확보에 장시간이 필요하고 기술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산업
- OECD 국가가 오랜 기간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도국을 상대로 최대 무역흑자를 기록하는 산업
- 근로자수 중 산업기술인력 비중 : (기계) 51.7% > (제조업)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