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기획재정부 (연기금투자풀 집합투자기구평가회사)
주석 :
* 통계표 수치는 평잔, 설정액을 의미
출처 :
기획재정부 (연기금투자풀 집합투자기구평가회사)
주석 :
* 통계표 수치는 평잔, 설정액을 의미
[지표설명]
■ 지표 개념 및 의의
ㅇ 연기금투자풀은 일부 대형기금을 제외한 대부분 기금들의 전문적 자산운용체계가 미비한 상황에서, 기금 자산운용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제도임('01.12월부터 운영)
* 선진적 자산운용 방법인 재간접투자(Fund of Funds) 방식으로 운영하여 자산운용의 성과와 안정성을 제고
* '투자풀운영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선정된 분야별 전문 자산운용회사가 연기금투자풀 펀드를 운용 관리
[의의 및 활용도]
ㅇ 개별 기금들이 연기금투자풀에 예탁하고 있는 자산 규모에 대한 정보를 제공
[지표해석]
■ 수탁규모 추이 분석
ㅇ 수탁규모는 연기금투자풀 제도를 도입한 초기 1.9조원에서 증가 추세임.
- 특히, 10년 5조원을 넘어선 이후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여 '18년 현재 18.9조원 규모임.
* (02년) 1.9조원 → (07년) 3.1조원 → (09년) 4.3조원 → (11년) 8.7조원→ (12년) 10.7조원 → (13년) 13.4조원→ (14년) 14.9조원 → (15년) 18.3조원→ (16년) 21.0조원 → (17년) 19.8조원 → (18년) 18.9조원 → (19년) 21.5조원 → (20년) 27.1조원 → (21년) 34.3조원
ㅇ 채권형의 비중이 가장 크며, '21년 기준 현재 37.6%임(평잔, 설정액 기준).
- 주요 예탁기관의 특성상 신규 예탁금액은 채권형 상품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혼합형과 주식형의 예탁금액 또한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이어감* 기금관리기본법('07년부터 국가재정법으로 통합)의 개정(’05년1월)으로 기금의 원칙적인 주식투자 금지조항이 삭제되고 ’06년 이후 주식관련 간접투자 상품 투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주식 관련 상품에의 예탁이 증가추세
* 참고 사항
- 최근 1개월 일자별 예탁규모 자료는 연기금투자풀 홈페이지(www.investpool.go.kr) 참조
■ 변동요인 분석
ㅇ 기금 여유자금 규모 증가 등에 따라 연기금투자풀 수탁고도 증가 추세
ㅇ 예탁기관의 자금운용 특성에 따른 채권형 상품 중심의 예탁금액 증가
■ 향후 정책방향
ㅇ 투자풀 완전위탁형 제도 시행에 따른 주식 및 대체투자 예탁규모 확대 기대
ㅇ 예탁기관의 투자상품 다변화 수요에 따른 신규 투자상품 발굴
ㅇ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리스크 관리 강화
번호 | 제목 | 등록일 |
---|---|---|
6 |
![]() |
2017-02-01 |
5 |
![]() |
2016-06-08 |
4 |
![]() |
2015-05-08 |
3 |
![]() |
2014-07-03 |
2 |
![]() |
2014-07-03 |
1 | 2011년 연기금투자풀 보고서.PDF | 2014-07-03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