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통계청「소비자물가지수」
주석 :
2015년을 100으로 460개 조사항목을 가중평균하여 매월 지수를 산출 발표
출처 :
통계청「소비자물가지수」
주석 :
2015년을 100으로 460개 조사항목을 가중평균하여 매월 지수를 산출 발표
국가통계포털(KOSIS)
[지표설명]
■ 소비자물가지수 개념
° 소비자물가지수
- 도시가계가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가격과 서비스 요금의 변동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작성하는 지수
- 2015년을 기준(=100)으로 가계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1,000분비로 산출, 품목 460개를 대상으로 작성
° 근원인플레이션
- 소비자물가 조사품목중 곡물이외의 농산물과 석유류(도시가스 포함) 같은 외부충격 등에 취약한 품목들이 제외되어 물가변동의 기조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지표
° 생활물가
- 소득증감에 관계없이 소비지출이 필요한 기본생필품을 대상으로 작성하며, 141개 품목으로 구성
■ 의의 및 활용도 :
° 매월 상품가격과 서비스 요금의 변동률을 측정하여 물가상승에 따른 소비자부담, 구매력 등 측정에 활용
■ 수치해석 방법
° 전월(년)비 상승률 : 전월(년)과 비교한 금월(년)의 물가수준 변동률
(예 : 08년 7월 전월비 0.7% 상승은 08.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08.6월 대비 0.7% 상승한 것을 나타냄)
° 전년동월비 상승률 : 전년도 같은 달과 비교한 금월의 물가수준 변동률
(예 : 08년 7월 전년동월비 5.9% 상승은 08.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07.7월 대비 5.9% 상승한 것을 나타냄)
° 전년동기비 상승률 : 금년 1월부터 금월까지의 물가(평균)을 전년 동기간 물가수준(평균)과 비교한 변동률
(예 : 08년 7월 전년동기비 4.5% 상승은 08년 1월에서 7월까지 소비자물가지수 평균이
07년 1월에서 7월까지 소비자물가 평균보다 4.5% 상승한 것을 나타냄)
[지표해석]
■ 최근 소비자물가 동향 및 분석
□ 2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비 1.1% 상승(전월비 0.5%),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도 전년동월비 0.8% 상승
□ 2월 소비자물가는 농축산물 상승폭 확대, 석유류 하락세 둔화 등으로 전년동월비 1.1% 상승
ㅇ 농축수산물은 명절 수요와 한파에 따른 채소류 작황부진, 조류인플루엔자 확산 등이 중첩되며 오름폭 크게 확대(전년동월비, (`21.1월)10.0→(2월)16.2%)
ㅇ 석유류는 국제유가 상승세로 하락폭 축소(△8.6→△6.2%)
ㅇ 공공서비스는 고교무상교육, 급식 등 정책효과 지속으로 전월수준 상승률 유지(△2.1→△2.1%)
ㅇ 개인서비스는 계란, 양파 등 농축산물 가격 상승이 외식 물가에 반영되며 상승폭 소폭 확대(1.5→1.6%)
□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는 오름폭 축소(0.9→0.8%)
□ 체감지표인 생활물가지수는 오름폭 확대(0.3→1.2%)
□ 신선식품지수는 전년동월비 오름세 확대(9.2→18.9%)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