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연구원(온/오프라인 설문조사 결과분석자료)
주석 :
* 제조업의 구성 업종 개편으로 인하여 2019년 2분기까지의 이전 시계열과는 직접적인 비교가 불가능하며, 2019년 3분기부터 새로운 시계열이 형성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연구원(온/오프라인 설문조사 결과분석자료)
주석 :
* 제조업의 구성 업종 개편으로 인하여 2019년 2분기까지의 이전 시계열과는 직접적인 비교가 불가능하며, 2019년 3분기부터 새로운 시계열이 형성
국가통계포털(KOSIS)
[지표설명]
■ BSI 개념
BSI(Bussiness Survey Index)란? 경기 동향에 대한 기업가들의 판단 및 예측과 계획의 변화 추이를 관찰하여 지수화한 지표 - 기업들의 응답 결과들에 대한 평균값을 0(매우 악화)~200(매우호조)의 범위로 환산 |
■ BSI 지수의 해석
- BSI 지수 100은 전분기 대비 변화 없음을, 100보다 크면 전분기 대비 증가(호전), 작으면 감소(악화)를 의미
■ 주요기관별 BSI 비교
|
한국은행 |
전국경제인연합회 |
산업통상자원부 |
---|---|---|---|
작성주기 |
매분기->매월('03.1.) |
매월, 매분기 |
매분기 |
기준척도 |
100 (3scale) |
100 (3scale) |
100 (7scale*) |
° 한은, 전경련 등은 호조응답업체 구성비(%) - 부진응답업체구성비(%) + 100로 계산 하여 산출하며 100을 기준으로 초과하면 호조, 미만이면 악화로 해석 (전월 기준)
° 산업통상자원부(KIET)는 7scale로 타기관에 비해 기업의 체감 강도를 보다 세밀하게 반영할 수 있음
■ 22년도 1분기 현황
ㅇ 국내 제조업의 2022년 1분기 현황은 시황(88)과 매출(86) BSI가 전분기에 이어 100을 여전히 밑도는 가운데 전분기 대비 하락 전환
- 세부 항목별로는 내수(88)가 전분기(96)와 달리 하락 전환하고, 수출(88) 역시 100을 다시 밑돌면서 전분기(100)보다 하락
- 설비투자(101)가 100을 약간 웃돌지만 전분기(102)에 이어 추가 하락하고, 고용(99)이 5분기 만에 100을 하회, 경상이익(85)도 하락
■ 22년도 2분기 전망
ㅇ 2022년 2분기 전망은 시황(101)과 매출(104) BSI가 100을 다시 웃도는 가운데 전분기 대비 각각 4분기와 2분기 만에 상승 전환
- 내수(103)와 수출(104) 전망치가 전분기와 달리 100을 모두 상회하고, 설비투자(102)와 고용(105) 역시 100 상회 수준을 유지
■ 향후 전망 또는 향후 계획
ㅇ '제조업 혁신 관련 종합대책' 마련을 통하여 제조업 고도화 및 신산업 창출 방안 등을 모색
-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 ('18.10.21, 경제장관회의) 후속 대책 마련
번호 | 제목 | 등록일 |
---|---|---|
18 |
![]() |
2019-11-25 |
17 |
![]() |
2018-08-27 |
16 |
![]() |
2018-08-27 |
15 |
![]() |
2016-07-22 |
14 |
![]() |
2016-07-22 |
13 |
![]() |
2016-04-22 |
12 |
![]() |
2016-04-22 |
11 |
![]() |
2016-01-26 |
10 |
![]() |
2016-01-26 |
9 |
![]() |
2015-12-01 |
8 |
![]() |
2015-12-01 |
7 |
![]() |
2015-12-01 |
6 |
![]() |
2015-12-01 |
5 |
![]() |
2015-12-01 |
4 |
![]() |
2015-12-01 |
3 |
![]() |
2015-12-01 |
2 |
![]() |
2015-12-01 |
1 |
![]() |
2014-04-08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