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통계청「산업활동동향」
주석 :
추세치=100을 기준으로 순환변동치가 100을 상회하면 추세이상의 성장을 하고 있고 100을 하회하면 추세이하의 성장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순환변동치 수준보다는 방향 중심으로 해석
출처 :
통계청「산업활동동향」
주석 :
추세치=100을 기준으로 순환변동치가 100을 상회하면 추세이상의 성장을 하고 있고 100을 하회하면 추세이하의 성장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순환변동치 수준보다는 방향 중심으로 해석
국가통계포털(KOSIS)
[지표설명]
■ 경기종합지수 의의
° 경기종합지수는 국민경제 전체의 경기동향을 쉽게 파악하기 위하여 경제부문별(생산, 투자,고용, 소비 등)로 경기에 민감하게 반영하는 주요 경제지표들을 선정한 후 이 지표들의 전월대비 증감률을 합성하여 작성
☞ 개별 구성지표들의 증감률 크기에 의해 경기변동의 진폭까지도 알 수 있으므로 경기변동의 방향, 국면 및 전환점은 물론 속도까지도 동시에 분석할 수 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종합경기지표로 널리 활용되고 있음
■ 경기종합지수 구성
ㅇ 경기종합지수에는 선행(Leading), 동행(Coincident), 후행(Lagging)종합지수가 있음
(1) 선행종합지수는 앞으로의 경기동향을 예측하는 지표로서 구인구직비율, 건설수주액, 재고순환지표 등과 같이 앞으로 일어날 경제현상을 미리 알려주는 9개 지표들의 움직임을 종합하여 작성함
(2) 동행종합지수는 현재의 경기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광공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비농림어업취업자수 등과 같이 국민경제 전체의 경기변동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7개 지표로 구성됨
(3) 후행종합지수는 경기의 변동을 사후에 확인하는 지표로서 생산자제품재고지수, 회사채유통수익률, 가계소비지출 등과 같은 5개 지표로 구성됨
번호 | 제목 | 등록일 |
---|---|---|
38 |
![]() |
2019-06-17 |
37 |
![]() |
2019-05-14 |
36 |
![]() |
2019-04-15 |
35 |
![]() |
2019-01-14 |
34 |
![]() |
2016-04-14 |
33 |
![]() |
2016-02-29 |
32 |
![]() |
2016-02-29 |
31 |
![]() |
2015-12-22 |
30 |
![]() |
2015-07-09 |
29 |
![]() |
2015-05-08 |
28 |
![]() |
2015-03-17 |
27 |
![]() |
2015-01-06 |
26 |
![]() |
2014-12-16 |
25 |
![]() |
2014-09-30 |
24 |
![]() |
2014-09-17 |
23 |
![]() |
2014-07-09 |
22 |
![]() |
2014-01-08 |
21 |
![]() |
2014-01-08 |
20 |
![]() |
2013-11-28 |
19 |
![]() |
2013-11-28 |
18 |
![]() |
2013-11-28 |
17 |
![]() |
2012-12-24 |
16 |
![]() |
2012-07-25 |
15 |
![]() |
2012-07-25 |
14 |
![]() |
2012-05-01 |
13 |
![]() |
2012-04-18 |
12 |
![]() |
2011-10-25 |
11 |
![]() |
2011-10-25 |
10 |
![]() |
2011-10-25 |
9 |
![]() |
2011-10-25 |
8 |
![]() |
2011-06-14 |
7 |
![]() |
2011-05-17 |
6 |
![]() |
2011-05-17 |
5 |
![]() |
2011-03-24 |
4 |
![]() |
2011-03-24 |
3 |
![]() |
2011-03-24 |
2 |
![]() |
2010-01-05 |
1 |
![]() |
2009-09-08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