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환경부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주석 :
* PM-2.5는 2011년부터 산정
** BC(Black Carbon)은 2014년부터 산정
*** 2015년부터 비산먼지 및 생물성연소 배출량 추가
출처 :
환경부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주석 :
* PM-2.5는 2011년부터 산정
** BC(Black Carbon)은 2014년부터 산정
*** 2015년부터 비산먼지 및 생물성연소 배출량 추가
국가통계포털(KOSIS)
■ 지표개념
ㅇ 연도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개념: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대기정책지원시스템(CAPSS,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을 기반으로 국내에서 연료연소, 자동차, 생활 주변 등에서 발생하는 CO, NOx, SOx, TSP, PM-10, PM-2.5, VOCs, NH3, BC 배출량을 산정한 수치임
■ 의의 및 활용도
ㅇ 대기오염물질이 어디서(배출원), 얼마큼(배출량) 발생하는지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이며, 배출원별 활동도와 배출계수, 방지효율 등을 활용하여 산정함. 해당 지표를 통해 사업장, 자동차 등 주요 배출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기오염의 현황 파악 및 미세먼지 등 대기 관련 정책의 수립‧이행‧평가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 수치해석방법
ㅇ 배출량: 물질별로 합하여 사용하지 않음 ㅇ 증감량: 통계시점과 전년도 시점의 차이임 ㅇ 증감비 : 통계시점과 전년도시점의 증감율
■ 수치증감 및 변동요인 분석
ㅇ 배출원별로 활동도 수준, 배출계수 개선 등 산정방법론 변경 등에 따라 배출량이 증감 -(에너지산업연소) 신규설비 추가로 인한 발전효율 개선 등으로 PM-2.5 배출량 등 감소 -(사업장 등) 폐기물 소각량 증가 등으로 대부분 물질 배출량 증가 -(이동오염원) 경유차 NOx 배출계수 개선, LPG차량 PM배출계수 신규 개발 등으로 배출량 증가 -(비산먼지, 생물성연소) 2014년 통계부터 공식 발표됨에 따라 관련 물질(특히 TSP, PM-10, PM-2.5 등) 배출량이 추가 산정됨
■ 향후 전망 또는 향후 계획
ㅇ 배출량 산정을 위한 인자인 활동도 및 배출계수 등에 대해 개선 연구를 매년 추진할 예정이며, 연구 결과에 대한 검증을 거쳐 공식배출량 산정 시 활용 예정임
※ 배출량 추이는 연료소비량, 자동차 주행거리 등 활동도에 의해 증감하지만, 배출량 산정방법론 개선에 의해서도 증감할 수 있음
번호 | 제목 | 등록일 |
---|---|---|
첨부된 정책자료가 없습니다.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