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통계청「국내인구이동통계」
주석 :
이동률은 연간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수도권 : 서울, 인천, 경기 / 중부권 : 대전, 강원, 충북, 충남, 세종
호남권 : 광주, 전북, 전남 / 영남권 :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출처 :
통계청「국내인구이동통계」
주석 :
이동률은 연간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수도권 : 서울, 인천, 경기 / 중부권 : 대전, 강원, 충북, 충남, 세종
호남권 : 광주, 전북, 전남 / 영남권 :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국가통계포털(KOSIS)
[ 지표 설명 ]
■ 국내인구이동통계의 개념 및 용어정의
° 국내인구이동통계는 대한민국 국민 중 국내의 일정한 지역에 살던 사람이 읍면동 경계를 벗어나 국내의 다른 곳으로 거주지를 옮긴 경우를 집계한 것으로, 읍면동의 전입신고서를 기초로 작성됨.
° 이동 : 행정 읍면동 경계를 넘어서 거주지를 옮기는 것
- 전입 : 행정 읍면동 경계를 넘어 다른 지역에서 특정 지역으로 이동해 온 경우
- 전출 : 행정 읍면동 경계를 넘어 특정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간 경우
- 순이동 : 전입 - 전출
· 전입초과(순유입) : 전출보다 전입이 많은 경우이며, 순 인구유입을 나타냄
· 전출초과(순유출) : 전입보다 전출이 많은 경우이며, 순 인구유출을 나타냄
- 이동률(%) : [연간 이동자수 / 주민등록연앙인구]× 100
· 주민등록연앙인구는 전년말(당해 연초) 주민등록인구와 당해 연말 주민등록인구의 산술평균
- 전입신고건수 : 동일시점에 동일세대 구성원이 동시에 전입신고한 경우 함께 신고한 세대원수에 상관없이 한건으로 집계
■ 국내인구이동통계의 의의 및 활용도
° 국내인구이동통계는 대한민국 국민의 지역별 인구이동량 및 이동방향 등을 파악하여 지역간의 균형적 국토개발, 교통, 교육 및 주택 등의 각종 정책수립 자료와 지역별 인구추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활용됨.
■ 국내인구이동 추이
※ 2022년 4월 국내인구이동 결과
□ 2022년 4월 중 이동자 수 48만 3천명, 전년동월대비 18.7%(11만 1천 명) 감소함.
□ 인구이동률(인구 백 명당 이동자 수)은 11.4%, 전년동월대비 2.6%p 감소함.
□ 시도별 순이동(전입-전출)은 경기(3,588명), 충남(1,381명), 인천(1,289명) 등 8개 시도는 순유입, 서울(-4,166명), 부산(-1,588명), 광주(-1,142명) 등 9개 시도는 순유출 됨.
■ 원인 분석 및 전망
° 국내인구이동은 대규모 신규아파트 입주나 재개발 재건축 등으로 인한 이주, 부동산경기나 고용상황 등에 따라 다소 증감을 나타냄.
° 장기적으로는 인구고령화에 의한 인구구조변화, 경제성장률 둔화, 교통통신발달 등으로 장기적으로는 감소 추세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