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 학교와 해당 학교의 경계선으로부터 직선거리 200미터의 범위 안의 구역
전담관리원 : 시장·군수·구청장이「식품위생법」제33조 제1항에 따른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의 자격을 갖춘 자 중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 업소에 대한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품을 조리 또는 진열·판매하도록 계도하기 위해 지정한 자
우수판매업소 :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에서 안전하고 위생적인 시설기준을 갖추고 고열량·저영양 식품, 고카페인 함유 식품을 판매하지 아니하는 업소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 :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에서 어린이 기호식품을 조리 또는 진열·판매하는 업소
어린이 기호식품 : 「식품위생법」 또는 「축산물위생관리법」에 따른 식품 중 주로 어린이들이 선호하거나 자주 먹는 음식물로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 시행령」에서 정한 아래의 식품
가. 가공식품 : 과자류 중 과자(한과류는 제외), 캔디류, 빙과류, 빵류, 초콜릿류, 유가공품 중 가공유류, 발효유류(발효버터유 및 발효유분말은 제외), 아이스크림류, 어육가공품 중 어육소시지, 면류(용기면만 해당) 중 유탕면류 및 국수, 음료류 중 과·채주스, 과·채음료, 탄산음료, 유산균음료, 혼합음료(주로 성인이 마시는 음료임을 제품에 표시하거나 광고하는 탄산음료 및 혼합음료는 제외), 즉석섭취식품 중 김밥, 햄버거, 샌드위치
나. 조리식품 : 제과·제빵류, 아이스크림류, 햄버거, 피자,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에서 조리하여 판매하는 라면, 떡볶이, 꼬치류, 어묵, 튀김류, 만두류, 핫도그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 제21조의 규정에 따라 영양사가 없는 어린이 급식소를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철저한 위생 및 영양관리 지원을 위해 설치·운영되고 있는 기관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생활영양안전정책과, 043-719-2268
최근 갱신일 : 2024-10-02(입력예정일 : 2027-09-30)
자료 출처 : KOSIS 통계표(보건·사회·복지 > 보건 > 어린이식생활안전지수)
공표 주기 : 3년
번호 | 제목 | 등록일 |
---|---|---|
8 | 2023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 결과.hwp | 2024-09-30 |
7 | 2020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산출 및 점수부여 방법.hwp | 2023-07-17 |
6 | 2020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 결과.hwp | 2023-07-17 |
5 | 2020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 세부지표.hwp | 2023-07-17 |
4 | 2017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 결과.hwp | 2023-07-17 |
3 | 2017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 세부지표.hwp | 2023-07-17 |
2 | 2014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 결과.hwp | 2023-07-17 |
1 | 2014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 세부지표.hwp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