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의료기기 생산현황 2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표개념

°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의료기기법」제13조의 규정에 따라 업체로부터 해당년도 익년 1개월 이내에 생산실적 현황(생산품목, 생산금액)을 보고 조사(보고된 자료에 의한 조사) 되는 자료임


■ 의의 및 활용도

° 「의료기기법」제13조의 규정에 의한 의료기기 생산실적에 대한 제조업자 보고사항을 취합하여 통계처리한 지표로서 의료기기 제조업소의 연도별, 생산실적 현황(평균생산실적, 평균생산품목, 생산실적 추이 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음


■ 수치해석방법

° 의료기기 생산실적을 통해 연도별 총 생산품목수 및 생산금액을 통한 시장규모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생산실적에 대한 전년대비 의료기기 전체 생산액 증가율 및 연도별 추이 등의 동향분석이 가능함


지표해석

■ 수치증감 및 변동요인 분석

° ‘23년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11조 3,148억원으로 2022년 대비 28.1% 감소했고, 이는 코로나19 회복에 따라 체외진단 의료기기 생산 및 수출이 감소의 영향이 매우 큼
- 국내 의료기기 시장규모 10조 7,270억원으로 '22년 대비 9.7%감소를 했으나 최근 5년간 시장규모는 연평균 8.3% 성장함
* 시장규모 = (생산금액 + 수입금액) - 수출금액
- 디지털 의료기기 국내 시장규모가 '20년 3,244억원에서 '23년 4,099억원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전체 수출액에서 디지털의료기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4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 아울러, 치과용 임플란트는 2023년 생산 및 수출액 1위 품목을 되찾았으며, 코로나19 회복에 따른 사회활동 증가 영향으로 조직수복용생체재료, 콘택트렌즈 등의 생산량이 전년대비 증가율이 높은 품목으로 나타남.
- 디지털의료제품법을 지난 1월 국회와 함께 제정했으며,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중심의 디지털의료기기에 대한 글로벌 규제 선도 및 규제 지원을 지속 강화해 나갈 예정


유의사항

° 의료기기 생산실적 보고업체는 4,223개소('23년 실적보고기준)
※ 휴업중 업소 등에 대해서는 보고대상에서 제외


관련용어

의료기기 : 사람 또는 동물에게 다음의 목적으로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기구·기계·장치·재료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
- 의료기기 허용 목적: 질병의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 상해 또는 장애의 진단·치료·경감 또는 보정, 구조 또는 기능의 검사·대체 또는 변형, 임신조절

생산금액 : 연간 생산된 의료기기의 총액으로서 각 업체에서 보고하는 포장단위 생산량과 생산단가(공장도 출하가,부가세 포함)를 곱하여 모든 업체를 대상으로 총 합산된 금액
※ 연중 생산단가 변동 시에는 연평균 단가를 생산단가로 적용

업체 수 : 생산실적을 보고한 업체 수

증가율 : 전년 대비 증가된 생산금액의 비율

전년대비증가율 : (당해년 생산액-전년도 생산액)/(전년도 생산액)×100

체외진단의료기기 : 사람이나 동물로부터 유래하는 검체를 체외에서 검사하기 위하여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시약, 대조ㆍ보정 물질, 기구ㆍ기계ㆍ장치, 소프트웨어 등 「의료기기법」 제2조제1항에 따른 의료기기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품을 말한다.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관리과, 043-719-3805

최근 갱신일 :   2024-07-01(입력예정일 : 2025-06-30)

자료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공표 주기 :   1년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관련 법령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