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Quick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결혼이민자 현황 5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행렬전환
~ 조회 행렬전환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표개념

○ 결혼이민자는 체류외국인 중 국민의 배우자 체류자격을 가진 자임

- F-2-1 및 F-5-2, F-6*
* F-6 : '결혼이민' 자격(2011.12.15.신설)


■ 의의 및 활용도

○ 국제결혼이 증감함에 따라 결혼이민자 및 그 가족에 대한 외국인 정책수립 및 평가 시 기초자료로 활용

■ 유의사항

○ 해당 통계는 결혼이민자 중 등록외국인의 지역별 현황임(미등록자 제외)


지표해석

■ 수치증감 및 변동요인 분석

○ 건전한 국제결혼 문화 정착을 위해 시행된 결혼이민(F-6) 사증발급 요건 강화(2014년) 조치 이후 국적을 취득하거나 출국하는 결혼이민자보다 신규 유입되는 결혼이민자가 많아짐

- 이에 따라 2019년까지 결혼이민자의 수는 전년 대비 2% 이상 증가함

- 코로나-19로 인해 국가간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2020년 이후 신규 입국하는 결혼이민자가 감소하였고 2021년 결혼이민자는 전년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나, 2022년에는 코로나19 방역조치 완화로 국가간 이동이 수월해짐에 따라 결혼이민자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여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 2022년에는 169,633명으로 전년대비 0.6% 증가함

- 성별로는 여성이 136,241명이고 남성은 33,392명임

- 거주지역별로 보면 경기(31.0%), 서울(16.3%), 인천(7.1%) 등 수도권 거주자가 54.4%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함

○ 국적별로는 중국 35.1%, 베트남 23.1%, 일본 9.1%, 필리핀 7.2%순으로 많음

- 국제결혼 안내프로그램 이수대상인 7개 국가 출신 결혼이민자의 비율은 75.6%로 2021년에 비해 1.3%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전체 결혼이민자의 다수를 차지함


■ 향후 전망 또는 향후계획

○ 다문화 가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결혼이민자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필요함


■ 참고사항

○ 국적별 현황은 장단기 전체 결혼이민자 현황을 표시한 수치이고, 지역별 현황은 미등록자는 제외한 수치임


유의사항

ㅇ 결혼이민자 현황 통계에 귀화 등으로 한국국적을 취득한 자는 포함되지 않음
ㅇ 국적별 현황은 장단기 전체 결혼이민자 체류현황을 표시한 수치이고, 지역별 현황은 미등록자는 제외한 수치임


관련용어

결혼이민자 : 체류외국인 중 국민의 배우자 체류자격을 가진 외국인

외국인 :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지지 아니한 자(출입국관리법 제2조제2항)

국민의 배우자 체류자격 : 2009년 이전에는 F-2-1 및 F-1-3, 2010년 이후에는 F-2-1 및 F-5-2,
2011.11.15.이후에는 F-2-1, F-5-2, F-6-1.2.3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법무부, 외국인정보빅데이터팀, 02-2110-4094

최근 갱신일 :   2024-01-05(입력예정일 : 2024-07-31)

자료 출처 :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공표 주기 :   1년

연관지표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등록된 정책 자료가 없습니다.
관련 법령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