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일자리 : 65세이상(예외적으로 60세 이상도 참여가능)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특성에 적합한 일자리를 정부에서 보수등을 지원하여 창출·제공하는 일자리
노인일자리 유형 : 1) 공익활동:노인이 자기만족과 성취감 향상 및 지역사회 공익증진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봉사활동
2) 사회서비스형 : 노인의 경력과 활동역량을 활용하여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영역(지역사회돌봄, 안전 관련 등)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자리
3) 시장형사업단:노인에게 적합한 업종 중 소규모 매장 및 전문 직종 사업단 등을 공동으로 운영하여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으로, 일정기간 사업비 또는 참여자 인건비를 일부 보충지원하고 추가 사업소득으로 연중 운영하는 노인 일자리
4) 취업알선형 : 일정 교육을 수료하거나 관련된 업무능력이 있는 만 60세 이상 고령자를 민간기업 등의 수요처로 취업을 알선해주는 사업
5) 시니어인턴십:만 60세 이상자의 고용촉진을 위해 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여 계속고용을 유도하는 사업
6) 고령자친화기업:노인의 경륜과 능력을 활용하여 경쟁력을 갖추고 양질의 노인일자리 창출을 위한 운영 지원, 기존 일자리사업의 영세성 및 재정의존성을 극복하고 사업의 규모화 및 민간의 대응투자를 유도
7) 기업연계형(폐지) : 기업이 적합한 노인일자리를 창출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직무모델 개발, 설비구입 및 설치, 4대 보험료 등 간접비용을 지원하여 노인 고용 확대를 도모하는 사업
('20년부터 시니어인턴십으로 통합)
8) 재능나눔(폐지):재능을 보유한 노인이 자기만족과 성취감 향상, 지역사회 공익 증진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봉사성격의 각종 노인권익증진 활동
('22년부터 참여형 자원봉사로 통합)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보건복지부, 노인지원과, 044-202-3475
최근 갱신일 : 2025-04-28(입력예정일 : 2026-01-01)
자료 출처 : 보건복지부(한국노인인력개발원) 내부자료, 통계청 「2023년 사회조사」
공표 주기 : 1년
번호 | 제목 | 등록일 |
---|---|---|
13 | 2023년_사회조사_결과_보도자료(통계표).xlsx | 2024-03-11 |
12 | 2023년_사회조사_결과_보도자료.hwp | 2024-03-11 |
11 | 2022년_사회조사_결과_보도자료.hwp | 2023-07-25 |
10 | 2022년_사회조사_결과_통계표.xlsx | 2023-07-25 |
9 | 2021년_사회조사_결과_통계표.xlsx | 2023-07-25 |
8 | 2021년_사회조사_결과_보도자료.hwp | 2023-07-25 |
7 | 2017년_사회조사_결과_보도자료.pdf | 2018-01-22 |
6 | 2015년 사회조사 결과(보도자료).hwp | 2017-01-19 |
5 | 2015년 사회조사 결과(통계표).xls | 2017-01-19 |
4 | 2009사회조사보도자료통계표.xls | 2010-12-02 |
3 | 2009년사회조사결과보도자료본문.hwp | 2010-12-02 |
2 | (2007년시점)65세이상 노인 1인가구.xls | 2010-07-22 |
1 | 06-1004(노인주거개선사업단보도자료_최종본).hwp | 2009-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