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성매매피해자지원 현황 2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표 개념 및 의의

- 성매매피해자 지원시설 입소이용인원 : 일반 지원시설, 청소년 지원시설, 외국인 지원시설의 입소 이용 인원을 나타내는 자료로 시설 입소를 통해 보호 및 자활지원을 받은 성매매피해자의 추이를 보여줌.

- 성매매피해 상담소 상담건수 : 성매매피해상담소에서 관련 상담을 지원한 건수로, 탈성매매 및 자활을 위해 상담 지원을 받은 피해자의 추이를 보여줌

- 성매매피해자 자활지원 건수 : 성매매피해자 자활지원센터의 지원건수 증감 추이를 보여줌


■ 지표의 의의 및 활용도

- 성매매 피해자등에 대한 지원 현황자료를 보여주며 추이를 파악함으로써 성매매피해자 지원대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 수치 해석 방법

- 피해자 지원 건수의 경우, 누적개념이 아니라 각 연도의 실적을 나타냄.

예) 2014년 상담건수는 2013년 상담 건수를 포함한 것이 아니라 2014년 1년간의 순수 실적임.


지표해석

■ 증감 추이 분석

° 성매매피해자 지원시설 설치운영

- 지원시설 및 상담소의 개소수 변동이 비교적 적음

° 성매매피해자 지원 실적

- 상담건수는 최근 3년간 평균 7만여 건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입소이용인원은 소폭 감소하였음


■ 향후 전망 및 대책

° 향후 성매매피해자 지원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 추진 필요

- 증가하는 청소년 및 외국인 성매매피해여성을 위한 상담 및 서비스 지원 강화 추진

- 성매매피해자들이 건강한 사회인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자립.자활 지원정책 지속 강화


유의사항

o 피해자 입.퇴소 및 지원현황의 경우, 누적개념이 아니라 각 년도의 1년간 실적을 나타냄.

관련용어

성매매피해자 지원시설 : 성매매피해자들에게 숙식, 의료.법률지원, 직업훈련지원, 진학지원과 함께 심리치료 및 사회적 역량강화를 위한 치료회복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시설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지원시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청소년 지원시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외국인 지원시설”이 있음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여성가족부, 폭력예방교육과, 02-2100-6449

최근 갱신일 :   2025-03-24(입력예정일 : 2026-03-24)

자료 출처 :   『성매매피해자지원시설 및 상담소 운영실적 보고』(매년별)

공표 주기 :   1년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등록된 정책 자료가 없습니다.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