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선택
~
조회
~
조회
지표설명
■ 지표의 개념
*한국표준직업분류 7차개정(2018년) 기준
* 관리자·전문가 = 관리자 + 전문 및 관련 종사자
■ 지표의 의의 및 활용도
° 여성 전문.관리직 종사자 구성비는 여성 전문.관리직 종사자의 변동 추이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여성권한척도 측정 및 여성인력개발정책 추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 수치해석방법
° 취업자
- 조사대상주간에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 자기에게 직접적으로는 이득이나 수입이 오지 않더라도 자기가구에서 경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높이는 데 도운 가족종사자로서 주당 18시간이상 일한 자(무급가족종사자)
- 직장 또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으나 조사대상 주간 중 일시적인 병, 일기불순, 휴가 또는 연가, 노동쟁의 등의 이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
° 여성 전문관리직 종사자 수
-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의한 직업의 분류 중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로 종사하는 여성취업자
° 직업의 분류
※ 직업의 분류 : 직업의 기능별 종류를 분류한 것으로 아래와 같이 분류됨.
→ 1. 관리자, 2.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 사무종사자, 4. 서비스종사자 5. 판매 종사자, 7.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7.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9. 단순노무종사자
° 여성 전문관리직 종사자 비율(%)
- 여성 전문관리종사자 수 / 여성 취업자 수 × 100%
지표해석
■ 기간별 증감 및 변동요인
° 여성취업자수는 '00년 8,772천명에서 '23년 12,464천명으로 증가하고 있음
■ 전망 및 대책
° 향후 여성취업자수의 증가와 더불어 여성 전문·관리직 종사자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정부는 공공부문 성별대표성 재고 계획('23~'27)을 통해 여성 고위직을 확대하는 등 지속적으로 성별대표성 제고에 노력하고 있음
유의사항
※ 2012년 이전 자료는 한국표준직업분류 6차개정 기준으로
2013년 이후(한국표준직업분류 7차개정) 자료와 증감내역을 단순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
전문.관리직 종사자 : 한국표준직업분류 6차개정(2007년) 기준에 따른 것으로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를 의미함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여성가족부, 여성인력개발과, 02-2100-6196
최근 갱신일 : 2025-02-28(입력예정일 : 2026-01-31)
자료 출처 : 「경제활동인구조사」
공표 주기 : 1년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