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헌혈인구 : 본인의 혈액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자 ○ 개인헌혈자 비율 : 전체 헌혈 인구 중 개인헌혈자가 차지하는 비율
■ 헌혈 인구 및 개인헌혈 비율의 의의 및 활용도
○ 총 헌혈자수와 헌혈자중 개인헌혈자 및 단체헌혈자의 비율, 연도별 추이 등을 조사하여 향후 혈액정책 수립의 판단 및 예측의 지표 활용
■ 수치해석방법 o 개인헌혈자 비율은 총 헌혈인구 중 헌혈의집 및 가두헌혈*을 통한 개인 헌혈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헌혈자 비율이 증가하는 것은 개인헌혈자 위주의 채혈 구조 개선 정도를 반영하는 것임 *가두헌혈 : 길거리나 광장 등에서 행인에게 헌혈 권장
지표해석
■ 헌혈 인구 추이 분석
○ 2003년 이전까지 연간 헌혈자 수가 250여만명이 될 정도로 양적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하였으나, 2003년을 기점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다 2008년 이후 증가세로 전환하였고, 2015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2016년에는 헌혈자 수가 다소 감소. 2017년에는 다시 전년대비 2.2% 증가하였고, 2018년에는 전년대비 1.6% 감소, 2019년에는 전년대비 3.2% 감소함. 이후 코로나바이러스-19영향으로 헌혈자수가 감소하였으나, 2022년부터 2024년 현재까지 다시 증가 추세임.
○ 군부대, 학생 위주의 단체 채혈의 구조적 개선을 위해 「 2004년 혈액안전관리개선 종합대책」 의 일환으로 2005년 이후 지속 추진한 헌혈의집 확충사업 추진 및 등록헌혈제도의 영향으로 2006년은 개인과 단체간의 헌혈점유율이 역전되었고 이후 계속 개인헌혈률 비율이 우위를 유지하여, 2024년 현재 개인 헌혈률이 73.7%를 차지함
■ 전망 및 향후 정책방향
° 향후 등록 헌혈제 활성화 및 선진국형 헌혈의 집 확충 사업 추진으로 인한 개인 헌혈자 위주의 채혈구조 개선을 통하여 안전한 혈액의 안정적인 공급 달성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