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보건복지부 (국민연금공단 자료)
주석: * 1988~2019년 누계 : (조성)945.1조원, (지출)208.4조원
* 운용(기타)는 공단회관취득비와 임차보증금, 기금보관분을 합한 금액임
[지표설명]
■ 지표개념
○ 국민연금은 국가가 보험의 원리를 도입하여 만든 사회보험의 일종으로 가입자, 사용자 및 국가로부터
일정액의 보험료를 받고 이를 재원으로
- 노령으로 인한 근로소득 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노령연금,
- 주소득자의 사망에 따른 소득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유족연금
- 질병 또는 사고로 인한 장기근로능력 상실에 따른 소득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장애연금
등을 지급함으로써 국민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도모하는 사회보장제도의 하나임
■ 의의 및 활용도
○ 재정현황을 통해 국민연금의 재정규모의 변화, 각각의 항목에 대한 내역, 국민연금기금의 투자분야별
금액 등을 알 수 있음
[지표해석]
■ 수치증감 분석
○ 국민연금기금은 2019년말 현재 시가기준 736조 6,538억원이 적립되어 있으며,
금융부문에 736조 790억원, 복지부문에 1,663억원, 기타부문에 4,085억원이 투자되어 운용
○ 2019년도 국민연금기금의 총 수익률은 11.31%(금액가중수익률 기준)이며, 수익금은 73조 4,247억원임
- 2019년도 국민연금 금융부문 운용 수익률은 11.34%(금액가중수익률 기준)임
■ 향후 전망 또는 향후 계획
○ 향후 연금수급자의 증가, 인구고령화 등의 영향을 고려할 때, 보험료율 및 급여 대체율 조정을 통한
연금재정의 안정화 필요
- ’98년에 재정계산제도를 도입하여, 5년마다 재정계산을 통한 재정조정 지속 추진
- 노후소득보장을 위해 연금재정의 장기적 안정화 지속 추진
○ 납부예외자 및 미가입자 등 사각지대 해소를 통해 1차 사회안전망으로서 국민연금제도의 발전 도모
○ 투자다변화 등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기금운용을 통해 수익률 제고
- 주식, 대체투자 등 위험자산 비중이 높아지면서 시장상황에 따라 운용수익률의 등락폭이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선제적 리스크 관리와 다양한 포트폴리오 전략이 요구됨
- 투자패러다임의 중장기화 : 중장기 기금운용계획 수립, 지속적인 성과평가제도 개선 및 인력운용의 선진화
○ 복지사업 등 사회적 욕구에 대한 탄력적 대응
- 기금의 공공성을 고려하여 국민경제 및 금융시장 발전과 조화될 수 있는 투자 전략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