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행정안전부「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통계」,「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통계」
주석 :
* 작성기준 : 매년 12월 말
출처 :
행정안전부「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통계」,「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통계」
주석 :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통계
출처 :
행정안전부「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통계」,「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통계」
주석 :
* 작성기준 : 매년 12월 말
국가통계포털(KOSIS)
출처 :
행정안전부「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통계」,「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통계」
주석 :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통계
국가통계포털(KOSIS)
[지표설명]
■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현황 지표 개념 및 의의
°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현황은 전체 지방직 공무원의 수에 대비한 지방직 여성공무원의 수
☞ 여성의 자치단체 공직진출 현황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지자체 여성공무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인사정책 수립이나 육아 부담 해소 등의 정책 추진시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기본자료임
[지표해석]
■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추이
° 2019년 : 전체 여성공무원 비율이 39.3%로 전년 2018년 대비 1.4%p 증가
° 지방자치단체에서 여성공무원이 증가함에 따라 주요부서에 근무하는 여성공무원 및 5급이상 관리자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
- 주요부서 여성공무원 비율: 35.2%('14년) →35.5%('15년) →37.4%('16년) →39.7%('17년) → 40.8%('18년) → 42.0%('19년)
- 5급이상 여성공무원 비율 : 11.59%('14년) →11.64%('15년) →12.6%('16년)→13.9%('17년) → 15.6%('18년) → 17.8%('19년)
° 여성의 대표성과 활용성 강화를 통한 여성경쟁력 제고를 위해 여성공무원에 대한 보직관리 및 여성관리직을 확대하기 위하여 관리직 여성공무원 임용확대 계획 을 실시
■ 관련노력
° 여성공무원의 출산과 자녀양육에 따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직장보육시설의 확대 및 출산휴가·육아휴직에 따른 대체인력 확보 등이 필요
- 육아휴직제도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육아휴직이용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번호 | 제목 | 등록일 |
---|---|---|
7 |
![]() |
2021-01-15 |
6 |
![]() |
2019-07-29 |
5 |
![]() |
2018-07-30 |
4 |
![]() |
2017-07-27 |
3 |
![]() |
2016-08-09 |
2 |
![]() |
2015-08-06 |
1 |
![]() |
2015-08-06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