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팀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팀
주석 :
2018년~2028년 10년간 누적된 인력공급과 수급에 대한 자료임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팀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팀
주석 :
2017년~2027년 10년간 누적된 인력공급과 수급에 대한 자료임
[지표 설명]
■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개요
° 인력수급전망은미래 노동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여 국가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
° '07년부터 범정부차원의 중장기 인력수급전망(10년 단위)을 실시해 왔으며, '19년에는 2018년~2028년 전망 실시
[지표 해석]
■ 중장기 인력수급전망(2018-2028) 결과
° 인력공급 전망
- 향후 10년간 15세이상 인구 191만명 증가, 15~64세 인구는 260만명 감소
- 15세이상 경제활동인구는 은퇴시기 연장, 여성 노동시장 참여 증가로 10년간 124만명 증가
15~64세 경제활동인구는 인구 감소 영향으로 70만명 감소
° 인력수요 전망
- 향후 10년간 15세이상 취업자는 128만명 증가하나, 인구증가 둔화 및 고령화 영향 등으로 '27년부터 감소 예상
- 서비스업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 지속(+145만명),
제조업은 경제 규모 확대와 소득향상 영향으로 증가가 예상되지만, 세계 성장률 둔화, 구조조정 등으로
증가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6.5만명)
- 숙련 수준이 높은 전문가가 크게 증가(+63만명)하고, 기능원(+0.5만명), 장치,기계조립 종사자(-4.2만명) 등은
기술발전, 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증가 축소 또는 감소 전망
° 신규 수급차 전망
- 학령인구 감소로 앞으로 10년간 신규 인력이 부족(-38.5만명)한 상황에 직면 예상
고졸자(-60만명), 대졸자(-45만명)는 초과 수요인 반면, 전문대(+64만명)는 기술 발전 등으로
중간 숙련 수요 감소로 초과 공급 예상
번호 | 제목 | 등록일 |
---|---|---|
첨부된 정책자료가 없습니다.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