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고용노동부「전국노동조합 조직현황」
주석 :
* 조직률 산정방식 :조합원수/조직대상근로자
* 매년 12월 31일 기준
출처 :
고용노동부「전국노동조합 조직현황」
주석 :
* 조직률 산정방식 :조합원수/조직대상근로자
* 매년 12월 31일 기준
국가통계포털(KOSIS)
[지표설명]
■ 지표 개념
° 노동조합 조직률 : 조합원수 / 조직대상 근로자 * 100
* 조직대상근로자 : 임금근로자(상용,임시,일용)-노조가입이 금지된 공무원
° 노동조합수 : 단위노조(기업, 지역·업종·산별노조)+연합단체(총연합단체, 산업별연합단체)
■ 지표 의의 및 활용도
° 지표의의 및 활용도 : 노조 조직현황(조직률,노동조합수,조합원수 등)에 대한 통계를 산출하여 향후 노조조직화 경향 등을 예측하고 각종 노동정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
[지표해석]
■ 노동조합 조직률 분석
° 노동조합 조직률은 11.8%로 전년 대비 1.1%p 증가
- 전체조합원수는 2,331,632명으로 전년대비 약243천명(11.6%) 증가하고 노조조직대상 근로자가
약 167천명증가
(단위 : 천명, %, %포인트)
구 분 |
2017년 |
2018년 |
증 감 |
---|---|---|---|
조직대상근로자 |
19,565 |
19,732 |
167(0.9%) |
조 합 원 수 |
2,088 |
2,331 |
243(11..6%) |
조 직 률 |
10.7 |
11.8 |
1.1%p |
° 노조수는 5,868개소로 전년 대비 5.9%(371개소) 감소
° 조합원 수는 2,331천명으로 전년보다 243천명(11.6%) 증가
* 한국노총 : 조합수 2,307개소(39.3%), 조합원수 932,991명(40.0%)
* 민주노총 : 조합수 367개소(6.3%), 조합원수 968,035명(41.5%)
* 미가맹노조 : 조합수 3,121개소(53.2%), 조합원수 373,844명(16.1%)
* 공공노총 : 조합수 61개소(1.0%), 조합원수 35,202명(1.5%)
* 전국노총 : 조합수 12개소(0.2%), 조합원수 21,560명(0.9%)
■ 노동조합 조직률 변화추이
° 연도별 노조조직률은 1989년을 정점으로 지속적인 하락 추세를 보여 '10년에 최초로 한 자리수인 9.8%를
기록한 이래 '11년에 복수노조제도 시행 등의 영향으로 다시 10%대로 회복되었고, '18년에는 11.8%로 증가
■ 국제간 비교
° ’18년말 노조 조직률은 11.8%로 전년대비 1.1%p 증가
< 노조조직률 국제비교 >
(단위 : %, '18년기준)
한국 |
미국 |
일본 |
대만 |
영국 |
---|---|---|---|---|
10.7 |
10.5 |
17.0 |
32.9 |
23.4 |
번호 | 제목 | 등록일 |
---|---|---|
4 |
![]() |
2020-04-07 |
3 |
![]() |
2019-01-14 |
2 |
![]() |
2018-01-08 |
1 |
![]() |
2017-08-30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