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환경부「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지표설명]
■ 지정폐기물 개념 및 의의
° 지정폐기물은 사업장폐기물중 폐유.폐산 등 주변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폐기물 등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유해한 폐기물로서 의료폐기물을 포함하여 총 23종이 이에 해당
° 이중 의료폐기물이란 지정폐기물 중 인체조직 등 적출물, 탈지면, 실험동물의 사체 등 의료기관이나 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물질로서 조직물류와 폐합성수지류 등 2종으로 구분
° 의료폐기물의 발생원으로는 병.의원, 보건소 및 보건진료소, 조산원, 혈액원, 동물검역기관, 동물병원, 시험기관 및 연구소, 장례식장 등이 있음
◇ 지정폐기물의 종류
° 공정오니, 광재, 기타 폐유기용제, 분진, 소각재, 안정화 또는 고형화 처리물, 폐내화물 및 도자기조각, 폐농약, 폐산, 폐석면, 폐수처리오니, 폐알칼리, 폐유, 폐유독물, 폐주물사 및 폐사, 폐촉매, 폐페인트 및 폐락카, 폐합성고무, 폐합성수지, 폐흡착제 및 폐흡수제, 할로겐족유기용제, PCB함유 폐기물 등 총 22종
◇ 의료폐기물의 종류
° 인체조직 등 적출물, 동물사체 등 조직물류와, 탈지면, 주사기 등 의료행위로 인해 발생하는 폐합성수지류 등이 있음 |
° 지정폐기물은 유해성분을 함유한 폐기물로써 특별관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OECD 등 국제기구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는 폐기물이며, 발생량 보다는 적정 관리와 처리가 중요
■ 지표의 활용
° 장래 폐기물의 발생량을 예측하고, 새로운 폐기물 관리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되며, 현행 폐기물 관리제도의 효과 검증에 활용
° 현재 환경부에서는 RFID를 이용한 의료폐기물 추적관리, 폐기물 적법처리 입증정보 시스템 등 지정폐기물의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음
[지표해석]
■ 지정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량
° '19년도 전체 지정폐기물 발생량은 총 15,556(톤/일)로 전년도(15,389톤/일) 대비 1.1%증가
- 이중 사업장지정폐기물 발생량은 14,910(톤/일)이며, 의료폐기물 발생량은 646(톤/일)임
° 지정폐기물 방법별 처리 현황을 보면, 재활용으로 9,719톤/일로 62.5%를 차지하며, 뒤이어 매립 2,835톤/일(18.2%),
소각 2,261톤/일(14.5%), 기타 742톤/일(4.8%) 순으로 각각 나타남
■ 지정폐기물 발생 업체수
° '19년 전체 지정폐기물 배출업소수는 총 144,665개소 임
- 이중 사업장지정폐기물 업체개소는 77,725개소 이며, 의료폐기물 업체개소는 66,940개소 임
■ 향후 지정폐기물 정책방향
° 지정폐기물의 분류를 업종별, 공정별, 유해성분 등에 의해 명확히 분류함으로써 산업 배출공정별로 유해폐기물 배출 여부확인을 누구나 쉽게 확인하여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선진국 수준의 유해 폐기물 관리 체계를 구축
번호 | 제목 | 등록일 |
---|---|---|
9 |
![]() |
2021-02-19 |
8 |
![]() |
2020-02-05 |
7 |
![]() |
2019-03-14 |
6 |
![]() |
2018-03-02 |
5 |
![]() |
2017-03-06 |
4 |
![]() |
2017-03-06 |
3 |
![]() |
2009-06-02 |
2 |
![]() |
2008-07-11 |
1 |
![]() |
2008-07-02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