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 2020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
주석 :
CO₂eq. : Carbon dioxide equivalent(이산화탄소 환산톤). 온실가스 종류별 지구온난화 기여도를 수치로 표현한 지구온난화지수(GWP, Global Warming Potential)에 따라 주요 직접온실가스 배출량을 이산화탄소로 환산한 단위
출처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 2020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 * 통계공표시기 : 작성기준 년도 익익년 12월
주석 :
CO₂eq. : Carbon dioxide equivalent(이산화탄소 환산톤). 온실가스 종류별 지구온난화 기여도를 수치로 표현한 지구온난화지수(GWP, Global Warming Potential)에 따라 주요 직접온실가스 배출량을 이산화탄소로 환산한 단위
국가통계포털(KOSIS)
[지표설명]
■ 국가 온실가스 배출 통계의 개념
ㅇ 국가 온실가스 배출 통계는 국제 기준(1996 IPCC Guidelines 등)에 따라 작성된 분야별 배출 통계를 관장 부처(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에서 공식적으로 통보받아 작성
■ 국가 온실가스 배출 통계 의의 및 활용도
ㅇ 국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부담에 관한 국제협상시 우리나라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지표해석]
■ 국가 온실가스 배출 현황
ㅇ 2018년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727.6 백만톤CO2eq.으로 1990년 대비 149.0%, 전년대비 2.5%(17.9백만톤CO₂eq.) 증가
- (분야별 비중) 총배출량 대비 에너지 86.9%, 산업공정 7.8%, 농업 2.9%, 폐기물 2.3%
- (가스별 비중) 이산화탄소(CO₂)가 91.4%, 메탄(CH₄) 3.8%, 아산화질소(N₂O) 2.0%,
수소불화탄소(HFCs) 1.3%, 육불화황(SF6) 1.2%, 과불화탄소(PFCs) 0.4%
ㅇ (원단위) 국내총생산(GDP) 당 배출량은 전년대비 0.4% 감소한 402 톤CO2eq./10억원으로 1990년 이후 최저치이며, 인구당 배출량은 2.0% 증가한 14.1 톤CO2eq./명
■ 온실가스 배출량 증감 요인
ㅇ (증가) 1) 공공 전기‧열 생산(17.0 백만톤, 6.7%), 2) 화학(5.3 백만톤, 13.1%), 3) 중전기기(2.2 백만톤, 83.7%),
4) 반도체 ‧액정(0.9백만톤, 14.3%)
* 1) 발전량 증가(3.1%), 2) 기초유분 생산량 증가(2.9%), 3) 중전기기 폐기량 증가(433%),
4) 반도체·액정 공정가스 구입량 증가(PFCs 27%, HFCs 32%)
ㅇ (감소) 1) 철강(-4.2백만톤, -4.2%), 2)제조ㆍ건설업/기타(-1.6백만톤, -3.9%), 3) 시멘트생산(-1.6백만톤, -6.3%)
* 1) 제철용 유연탄 소비감소(-4.6%) , 2)비금속 업종 연료탄 소비감소(-11%), 3) 클링커 생산량 감소(-6%)
번호 | 제목 | 등록일 |
---|---|---|
1 |
![]() |
2022-01-03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