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국립공원기본통계
[지표설명]
■ 지표의 개념
° 국립공원은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국내외적으로 자국내 자연환경과 문화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척도임
- 국립공원은 환경부장관이 지정하여 고시한지역으로 자연환경보전을 위해 국가 차원의 관리가 필요한 지역임
참고. 자연공원이란? 자연공원은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이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지정 주체에 따라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지질공원으로 구분되며, 자연공원의 지정기준은 자연생태계, 자연경관, 문화경관, 지형보존, 위치 및 이용편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음 |
■ 국립공원 지정 현황
° 공원의 형태로는 설악산 등 17개의 산악육지공원, 다도해, 한려해상 등 2개의 해상공원, 태안해안공원과 사적공원인 경주국립공원으로 분류
- 산악육지공원(17개소) : 지리산, 계룡산, 설악산, 속리산, 한라산, 내장산, 가야산, 덕유산, 오대산, 주왕산, 북한산, 치악산, 월악산, 소백산, 월출산, 무등산, 태백산
- 사적공원(1개소) : 경주
- 해상공원(4개소) : 태안해안, 다도해해상, 변산반도, 한려해상
■ 지표의 의의 및 활용도
° 국립공원은 자연공원법에 의거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을 지정
- 자연생태계 보전, 공원자원 훼손 예방, 지속가능한 이용체계 확립의 원칙에 의거 공원관리정책 추진에 활용
[지표해석]
■ 국립공원 지정현황 변화 추이
° 국립공원은 1967.12.29일 지리산국립공원이 최초로 지정된 이래 2018년말 현재 22개소가 지정되어 있음
- 1960년대 4개소, 1970년대 9개소, 1980년대 7개소, 2013년 무등산, 2016년 태백산이 추가되어 현재 22개소가 지정되어 있음
° 국립공원 면적은 1960년대 1,221㎢ , 1970년대 3,242㎢, 1980년대 6,580㎢, 2019년말 현재 6,726㎢에 이르고 있음
■ 국제 비교
° '19년말 22개 국립공원 면적은 6,726㎢ 임
° 국립공원 규모(평균 면적)는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지만 국토대비 면적은 낮지 않은 수준임
<외국 국립공원과의 비교 >
('07년 기준)
구 분 |
한국 |
일본 |
대만 |
미국 |
캐나다 |
영국 |
---|---|---|---|---|---|---|
1개 국립공원의 평균면적(㎢) |
329 |
733 |
579 |
4,046 |
5,860 |
1,038 |
국토대비 면적율(%) |
6.6 |
5.4 |
9.6 |
2.7 |
1.8 |
6.0 |
■ 향후 국립공원 관리계획
° 자연자원보전 및 훼손된 지역을 복구하고 탐방편의시설을 확충함으로써 깨끗하고 쾌적한 국민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국립공원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 도모
번호 | 제목 | 등록일 |
---|---|---|
1 |
![]() |
2017-08-17 |
![]() |
|||
평가내용 |
![]() ![]() ![]() ![]() ![]() |
||
평가자정보 | 이름 비밀번호 * 지표관련 질문은 [의견 및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
*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